어린이과학동아
"차이"(으)로 총 1,5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파이더맨 결혼 대작전(1)어린이과학동아 l20070511
- 저희는 좀 특별하다고 볼 수 있죠! 아니, 아주 많이 특별하죠! 코와붕가! [소제시작]외계에서 온 슈퍼영웅 슈퍼맨[소제끝] 중력의 차이가 낳은 슈퍼파워 전 한 손으로 자동차도 번쩍 들 수 있어요. 하지만 제가 따로 운동을 한 것도 아니에요. 그래서 전 생각했죠. 도대체 이런 괴력을 어떻게 갖게 됐을까…. 그러던 어느 날 텔레비전에서 우주인을 봤 ...
- 해적왕 잭의 지도 정복기 (1)어린이과학동아 l20061228
- 방방곡곡을 답사하면서 1861년‘대동여지도(왼쪽 그림)’를 완성한다. ‘대동여지도’는 축척 90만분의 1 지도로 지금의 지도와 별로 차이가 없을 만큼 정확하며 22첩의 목판으로 휴대하기 쉽게 만들어 많은 백성들이 지도를 볼 수 있게 되었다. 근대 지도의 창시자‘프톨레마이오스’ 무려 1500년 가까이 유럽인들이 그의 지도를 사용하게 만든 사람이 ...
- 우주 김치는 얼마나 맛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061227
- 현장을 찾아 낸다.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것도 알 수 있다. 또 비행장에 진짜 비행기와 나무로 된 가짜 비행기를 섞어 놓아도 온도 차이를 이용해 진짜 비행기를 찾아 낸다. 이 위성은 한반도뿐 아니라 지구 전체를 촬영할 계획이다. 사이언스 시간여행 - 과거 속으로 1610년 1월 7일 갈릴레오, 이오 등 목성의 세 개 위성 발견 갈릴레오 갈릴레이 ...
- 동이마을 비내리제어린이과학동아 l20061031
- 힘껏 몸을 날렸다. “퍼억.” 준호의 손이 베이스에 닿는 동시에 공이 홈에 들어왔다. 눈으로는 식별 불가능이다. 그때 천분의 일 초차이도 분간해 내는 컴퓨터 심판이 소리를 높였다. “세이프.” “와아아! 7대 6! 이겼다!” “준호! 준호! 준호!” 우리팀 선수들이 모두 준호를 얼싸 안았다. 실력도 실력이지만 준호는 정말 믿음직한 친구다. 준호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1)어린이과학동아 l20061013
- 내보내는 찌꺼기. 국어사전에 나와 있는 똥의 의미다. 입으로 들어간 음식이 소화되어 나왔을 뿐인데 음 식과 똥의 대접은 하늘과 땅 차이다. 똥이라는 말도 입에 올리기 싫다. 대신‘대변’이나 ‘배설물’등의 우아한 단어를 쓴다.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는 속담은 똥에게 세상에서 최고로 더럽다는 불명예까지 덤으로 얹어 준다. 정말 똥은 ...
- 2 놀라운 세상 - 신비한 숫자 2의 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60928
- 테니 말이에요. 귀 귀가 둘인 것은 소리가 난 방향을 알기 위해서예요. 양 쪽의 귀에 소리가 들어오는 데 미묘한 차이가 생기고, 그 차이를 뇌가 인식해 소리의 방향을 알 수 있게 해 준답니다. 콧구멍 콧구멍이 두 개인 이유는 냄새를 잘 맡기 위해서예요. 후각은 쉽게 피곤해 지기 때문에 왼쪽·오른쪽 콧구멍이 약 2시간마다 교대로 냄새 ...
- 3짱 프로젝트-향기로운 몸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060830
- 냄새는 두 가지가 있어요. 일반적인 땀 냄새와 외국인에게 나는 냄새처럼 독특한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지요. 이 두가지차이는 땀샘의 차이 때문이랍니다. 우리 몸에는 에크린 땀샘과 아포크린 땀샘 두 종류가 있어요. 에크린땀샘은 온 몸에 퍼져 있는 일반적인 땀샘을 말하고 아포크린 땀샘은 겨드랑이나 배꼽주위 등 신체의 일부분에만 분포하는 ...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어린이과학동아 l20060814
- 영양분도 풍부한 해양심층수가 있거든. 처음 이 물이 이용된 건 1974년 미국에서야. 차가운 해양심층수와 따뜻한 바다 표면과의 온도 차이를 이용해서 전기를 만들려는 계획이었지. 그 후 해양심층수에 균이 없고 미네랄이 풍부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인기가 치솟았어. 먹는 생수는 물론 비료나 의약품, 화장품을 만드는 데 이용한단다. 심해 : 아~! ...
- '안보여도'의 육상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060628
- 줄어든다. 무게는 800g일 때가 가장 적당하고 100g의 차이가 날때마다 역시 1m의 거리가 줄어든다. 창의 길이는 260㎝가 적당하고 10㎝ 차이마다 역시 1m가 줄어든다. 세 사람의 힘이 같다고 했을 때 각각의 조건에서 누구의 창이 가장 멀리 나갈까? ① 머라도 지버던저 : 창 길이 260㎝, 무게 1㎏, 각도 45도 ② 한창 ...
- 맛있는 빛의 요리사어린이과학동아 l20060613
- 쏟아져 나온 빛의 알갱이들이 곧게 나아가고 반사되며 휘어진다는 얘기다. 빛의 파장에 따라 프리즘을 통과할 때 꺾이는 정도도 차이가 난다. 가시광선은 빨간색에서 보라색으로 갈수록 많이 꺾인다. 무지개는 공기 중의 물방울이 프리즘 같이 빛을 분산시켜 만들어진다. 뉴턴은 무지개를 이루는 색이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
이전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