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차이"(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빛과 그림자가 알려주는 시간과 방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060313
- 공통으로 쓰게 되는데, 이것을 표준시라고 합니다. 세계 각국은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 0°로 하여 경도 15°마다 1시간씩 차이가 나는 표준시를 씁니다. 즉, 경도가 15°동쪽으로 옮겨지면 표준시는 1시간이 빨라지고, 서쪽으로 옮겨지면 1시간이 늦어지는 것이지요. 우리나라의 해시계들 해시계는 인류의 역사에서 가장 먼저 사용된 시계예요. ...
- 1472년 2월 19일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060214
- 지동설을 주장했던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이가 우연히도 모두 2월에 태어났답니다. 또 이탈리아의 파도바대학교 선후배 사이이기도합니다. 물론 100년이라는 시간의 차이가 있었습니다. 두사람이 주장했던 지동설은 당시 사람들이 믿었던 천동설을 뒤엎는 위험한(?) 생각이었습니다. 하지만 과학은 잘못된 이론을 가만히 두지 않는다는 것을두사람이 입증해 냈습니 ...
- 추위와 폭설, 한반도를 덮치다(4)어린이과학동아 l20060111
- 규격은 32㎜이지만 이번 눈에 무너진 비닐하우스는 22.2㎜의 파이프를 쓴 곳이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굵기에 따라 파이프의 가격 차이는 많이 나지만 재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튼튼한 자재를 이용해 건축물이나 비닐하우스를 짓는 것도 중요합니다. 한편 이번 호남고속도로에 자동차가 갇히는 사건은 고속도로 통제가 늦어져 발생한 일이라고 합니다. 기상청의 ...
- 아바타 학교어린이과학동아 l20051130
- 살짝 뾰족한 예쁜 코는 모두 아바타 성형의 위대한 결과야. 아바타 성형이 유행하면서 등록된 자료와 홀로그램 아바타의 모습의 차이가 커졌고, 학교에서 학생들의 아바타 성형을 규제할 거라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어. 물론 아이들 대부분은 사생활 침해라며 반대하는 입장이야. 그래서 비밀 학급회의가 소집된 거였어. 정확하게는‘복장규제’가 아니라‘성형규제’ ...
- 잠(2)-신나는 꿈을 꾸었어!어린이과학동아 l20051130
- 하루 10시간 이상 자야 했다는 것을 보면 잠을 많이 잔다고 해서 게으르다고 할 수는 없겠죠? 잠을 얼마나 자야 하는지는 사람마다 차이가 많이 나고 또 환경에 따라 변하는 것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낮에 피곤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을 만큼 적당히 자는 것이 가장 중요하답니다. 잠은 이렇게 잔다 잠이 잘 오지 않아 괴로운 적이 있었나요? 아무리 자려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3)어린이과학동아 l20051111
- 염분, 풍향 등을 자동으로 측정했고 엘니뇨를 예측하기가 더 쉬워졌어요. 리포트 5-엘니뇨는 억울해! 태평양 동쪽과 서쪽의 온도 차이가 커지고 멸치가 잘 잡히지 않으면 페루의 어부들은 엘니뇨가 발생한 것을 느꼈지요. 그래서 차고 건조한 기후에서 잘 자라던 목화 재배는 그만두고 밭벼를 심는 방법으로 기후에 적응했어요. 또 사료로 만들던 멸치가 덜 ...
- 얼음 속에 갇힌 설인을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51111
- 대해 알아야 합니다. 공기를 통과하던 빛이 렌즈의 재료인 유리나 플라스틱을 통과하면서 속도가 바뀌게 되는데요. 바로 이런 속도 차이 때문에 굴절이 일어나는 것이죠. 또한 빛은 렌즈의 두께가 두꺼운 쪽으로 굴절한답니다. 그래서 볼록 렌즈를 통과 할 때는 가장 렌즈가 두꺼운 중심으로 빛이 굴절해 빛이 모이게 되는 것이죠. 따뜻한 담요를 덮어 주었는 ...
- 우리 문화재를 지킬 피리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050927
- 달라진답니다. 같은 도 음을 내도 사람마다 소리가 다른 이유는 서로 음색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BIMG_L16}소리의 높이 소리의 높낮이의 차이는 소리를 만드는 물체의 진동수에 의해 정해진답니다. 진동수가 많을수록 높은 소리가 나며 적을수록 낮은 소리가 나는 것이죠. 소리 높이는 Hz(헤르츠)라는 단위를 이용해 표시합니다. 큰 소리를 내고 싶 ...
- 달이 너무 궁금해 (2)어린이과학동아 l20050912
- R10}아폴로 11호 이후에도 많은 무인, 유인 탐사선들이 달의 비밀을 풀기 위해 달에 다녀왔지요. 달은 공기와 물이 없고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급격해 사람이 살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곳입니다. 중력은 지구의 6분의 1로 같은 힘으로 지구보다 6배 높이 뛸 수 있고요. 달에도 분화구처럼 생긴 크고 작은 산과 평야, 깊은 계곡이 있으며 공기가 없 ...
- 무인도 탈출 작전! SOS~!어린이과학동아 l20050912
- 번 절망 속으로 빠뜨리는 것이 바로 신기루 현상이다. 바다에서 나타나는 신기루 현상은 차가운 바다와 그 위의 따뜻한 공기층의 온도 차이 때문에 생긴다. 빛은 따뜻한 공기에서는 빠르게, 차가운 공기에서는 느리게 이동하므로 그 경계면에서 꺾이는데 이를 굴절이라고 한다. 즉 밀도가 서로 다른 층을 지나는 빛은 밀도가 큰 쪽(차가운 공기)으로 휘어진다 ...
이전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