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박경미 교수의 수학캠핑] 선행학습의 감옥에 갇힌 학생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상대의 행동을 고려하면서 자신의 이익이 커지도록 행동하는 것을 수학적으로 분석한
이론
이다. 만약 내쉬균형에 도달하면 사람들은 상대가 내린 선택 하에서 자신의 선택이 최적이기 때문에 더 이상 선택을 바꾸지 않는다.내쉬가 실제로는 어디에서 영감을 받았는지 모르지만, 영화 속에서 내쉬는 ... ...
[포토뉴스] 수학으로 해양 오염 막는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입자의 움직임과 그 특성을 수학적으로 설명하는
이론
이다. 이
이론
은 인터넷과 같은 복잡한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상호연관성을 연구하는 데 활발히 활용돼 왔다.프로일랜드 박사는 “우리 모델은 오염의 근원지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진 곳까지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 ...
[만화뉴스] 지렁이의 전진, 수학으로 설명하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주목을 받고 있다.중앙 패턴 발생기 모델은 이전까지 가장 널리 받아들여져 온
이론
으로, 지렁이의 몸에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하나의 물결을 만드는 중추가 있다고 가정한 모델이다. 하지만 이 모델로는 지렁이가 복부의 신경 다발이 잘려나가도 계속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설명할 수가 ... ...
[시사] 살아 움직이는 미로 메이즈 러너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생겼다. 호기심으로 시작한 그의 연구는 논문으로 이어졌고, 이 논문에서 그는 그래프
이론
으로 해석한 미로 탈출 전략을 공개할 수 있었다. 논문은 가장 단순했던 그리스 신화 속 미로에 대한 이야기부터 시작한다.아테네의 영웅 테세우스가 등장하는 신화에는 간단한 미로가 등장한다. 이 미로는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의해 페르미언 입자들의 구조적 연구에 적용되어, 결국은 20세기 후반부터 ‘초대칭성’
이론
의 기반으로 진화했다.요즘 들어서 피타고라스가 말한 ‘모든 것이 수다’라는 격언에 대해 생각할 기회가 많은 가운데, 이번 달에는 기하 자체를 연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립한 그라스만의 대수학을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것이다. 프랜시스 구드리의 질문에서 시작된 이 문제를 두고 많은 수학자들은 그래프
이론
을 이용해 증명하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끝내 수학적으로 증명하지는 못했다. 다만 지난 1976년 6월 케네스 아펠과 볼프강 하켄이 컴퓨터를 이용해 증명했다.SNS 친구 수는 거듭제곱분포를 따른다!가끔 우리가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이용해 실제 사람의 움직임을 컴퓨터 데이터로 만들어 방정식의 한계를 보완했답니다.
이론
과 실험 데이터를 융합하는 방식을 이용한 거죠.”현실에서는?#1 올 가을 개봉을 앞둔 새로운 액션 영화에는 주인공이 계단을 굴러떨어지다가 어떤 폭발물에 의해 멀리 날아가는 위험한 장면이 포함되어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방정식의 구조론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이런 관점 교체가 결정적으로 중요했던 분야는 일반상대론의 아인슈타인 방정식
이론
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1960년대 초 정도까지 물리학자들이 어려운 방정식의 복잡한 해를 찾는 데 집착하면서 일반상대론 연구는 거의 정체 상태에 이르렀었다. 하지만 시공간 구조의 거시적인 성질을 방정식을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상상할 수 있다. 조선 수군의 판옥선은 좌우 폭이 약 12m로, 이 정도로 좁은 바다라면
이론
적으로 약 10m씩 사이를 두고 일자 진을 펼칠 수 있었다. 폭이 약 4.8m로 작은 왜군의 세키부네도 한 번에 20척 이상은 들어오기 어려운 지형이었다. 즉 이순신 장군은 울돌목의 좁은 지형을 활용해 란체스터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온다. 미니인터뷰는 과학동아 디지털매거진에 있다. 이강영 경상대 물리교육과 교수는
이론
물리학자지만 “어려서 공룡에 대해 읽고 상상하면서 과학에 대한 꿈을 키웠다”며 “그 꿈을 좇아 탐사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지질학과 물리학은 달라도 너무나 다르지 않느냐는 우문에 이 교수는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