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호기심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먼 훗날 블랙홀이라는 미지의 영역을 설명해 줄 어떤
이론
이 등장할지 궁금해진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빛나는 블랙홀 검은 구멍의 수학적 재구성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때문이다.그럼에도 우리는 우주의 질서를 파악하기 위해서 실험도 하고 검증도 하며
이론
을 정립해서 확신을 키워가는 과정을 거듭한다. 물론 거기서 공리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다. 뉴턴의 운동 법칙처럼 사고의 근거를 마련해 줄 명제 몇 개를 근사적으로라도 정해 놓는 것이 과학적 ... ...
PART 1 한 눈에 보는 블랙홀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이론
물리학자 오펜하이머가 거대한 질량의 별이 수축하면 블랙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론
적으로 증명했다. 1967년 존 휠러가 처음으로 ‘블랙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70년 블랙홀로 추측되는 곳이 X선 탐사 위성에 의해 발견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빛나는 블랙홀 검은 구멍의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최소 노력 원칙은 소비자가 가능한 최소의 노력으로 손쉽게 물건을 사려고 한다는
이론
이다.미국의 저명한 경제학자인 레스터 텔서는 최적의 화폐 액면 체계를 설명하기 위해 정수론의 ‘배쳇 문제’를 활용했다. 배쳇 문제는 제한된 범위 안에서 가장 적은 개수로 임의의 총합을 만들 수 있는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정보처리에 쓰이는지 흥미를 느껴 전공을 바꿨다. 마침 장소세포 연구는 뇌 정보처리
이론
을 연구하기에 가장 알맞은 주제였다.현재는 고려대 신경계산연구실에서 장소세포와 격자세포를 활용한 전기 생리학실험을 하며 세포들이 어떻게 장소 정보가 담긴 신경신호를 만드는지 연구하고 있다.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유로(약 8100억 원)를 지원 받아 건설 초읽기에 들어갔다”며 “현재 약 100명의 연구진이
이론
과 원자로 설계 등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 박사는 “EU 역시 관심이 많아, 소규모 프로젝트 형식으로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아레바 등 프랑스 기업도 깊숙이 개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근본적으로 재검하려는 노력 중 하나가 바로 요새 자주 이야기되고 있는 초대칭성
이론
이다. 이처럼 세상을 탐구하는 과정은 상당히 신비한 수 체계를 끊임없이 필요로 한다 ... ...
“클림트의 그림은 왜 더 야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무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한 프로이트도 있었다. 캔델은 분리파가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
을 활용했다고 주장한다.클림트는 생물학에도 관심이 있었던 것 같다. 의학사를 연구하는 타치아나 부클리아스는 “1903년 직후 몇 년에 걸친 클림트의 작품을 보면 세포질과 세포핵을 지닌 상피세포가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질화갈륨(GaN)이라는 물질이 떠올랐다. 질화갈륨으로 파란색 LED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
적으로 처음 밝혀낸 사람이 바로 나고야대의 아카사키 이사무 교수와 아마노 히로시 교수다. 아카사키 교수는 1974년부터 질화갈륨에 관심을 갖다가 1981년 나고야대 교수로 부임하면서 본격적인 연구를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두 사람은 ‘단일 분자’ 현미경이라는 새로운 길을 열어젖힌 연구자들이다. 머너는
이론
적 토대를 마련했고, 베치그가 실제 현미경 개발에 성공했다. 먼저 베치그부터 살펴보자. 베치그는 1990년대 초에 이미 슈퍼스타 과학자였다. 벨연구소에서 초분해능 현미경의 조상뻘인 근접장 현미경(빛이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