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식"(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교수팀은 원자와 원자 사이의 극도로 작은 공간에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의 메모리를 구상해 2016년 7월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구리 기판 위에 염소 원자를 배열한 뒤, 원자 사이에 전류가 흐르면 ‘1’, 흐르지 않으면 ‘0’으로 정보를 입력했다 ... ...
- [Culture] 혼자 두고 나갈 때마다 심술 부려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키워줘야 합니다. 보호자로부터 점차적으로 독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행동치료 방식인 캐린 오버럴 박사의 안정화 교육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강아지가 이런 증상을 보이면 우선 심술을 부린다고 생각하지 말고, 좀 더 이해가 필요한 강아지라고 생각해줘야 합니다. 좀 더 정확한 ... ...
- [인터뷰] “파격적인 입학전형이 DGIST의 경쟁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그룹토의는 학생 5~6명을 한 그룹으로 묶어 제시된 주제에 대해 20여 분간 토의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정시 면접도 미래면접과 동일하게 그룹토의와 개별면접으로 구성된다. 정시 면접의 다른 점은, 수능 성적만으로 모집인원의 3배수 정도를 선발해 면접을 보며, 면접에서는 성적을 고려하지 ... ...
- 움직임을 지배하는 운동의 법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통합과학의 두 번째 단원은 시스템과 상호작용이다. 시스템이란 각 구성 요소들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균형을 유지하는 집합을 ... 식물의 뿌리는 중력을 감지해 땅속으로 자란다. 중력이 생물의 구조와 서식지, 생활 방식 등 다양한 부분을 결정하는 요인인 것이다 ... ...
- Part 1. 비장애인과도 겨룬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16개나 되는 반면, 뇌성마비 선수가 나갈 수 있는 장거리 달리기 경기는 없었다. 원래 방식으로는 여러 부문을 합칠 수 없다. 과거에 경기가 열린 횟수와 규칙이 부문마다 달라 환산 계수 산출 공식도 다르기 때문이다. 반면 퍼시 교수의 공식은 현재 결과만 쓰므로 이런 문제가 없다. 게다가 장애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뉴질랜드의 민간기업 ‘로켓랩’은 1월 21일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로켓인 ‘일렉트론(Electron)’을 발사했다. 일렉트론은 소형위성 전용 로켓으로 3만 여 개의 로켓 부품을 1000여 개로 대폭 줄였다. 또 엔진을 포함한 로켓 부품을 3D프린터와 탄소섬유로 제작해 비용을 ... ...
- 이보다 안전할 수 없다 양자암호통신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신호를 측정한다. 수신기와 송신기는 주고받은 전체 광자 중에서 생성 및 측정한 편광 방식이 같은 광자만 추리고, 그 중 일부를 골라 같은 수를 나타내는지 확인한다. 이 때 광자는 광통신망을 이용해 전송되는 만큼 그 과정에서 약 5% 이내로 자연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와 ... ...
- [Issue] 韓 ‘세계 혁신 국가 1위’ 의미는?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살펴보니 7개 분야에서 점수를 매긴 뒤 종합점수가 가장 높은 나라를 순서대로 줄 세우는 방식이었다. 한국은 특허 출원에서 세계 1위, 제조업 부가가치 및 연구개발 투자 부문에서 세계 2위를 기록해 ‘종합 세계 1위’를 기록했다. 그런데 이 대목에서 한 가지 의문이 제기된다. 왜 블룸버그를 ...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Atherosclerosis)과 같은 여러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이다. 활성산소종이 작용하는 방식은 단계적이다. 먼저 효소 수용체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세포막 단백질에 손상을 줘 결국에는 세포의 불활성화를 초래한다. 생물은 활성산소종의 유독성에 대항하는 자연적인 방어 기작을 가지고 있으나, ... ...
- UNIST 종합다면면접평가 분석 및 대비법과학동아 l2018년 03호
- RNA가 표적 유전자를 찾아가 ‘캐스(Cas)9’이라는 효소를 이용해 DNA 염기서열을 잘라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돼지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유전자가위 기술로 교정하거나, 줄기세포나 체세포에서 유전병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교정하고, 항암세포 치료제 개발에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