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d라이브러리
"
방식
"(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 수신 속도는 0.16Mb로 나타났다. 3G에서는 초당 송신과 수신 속도가 각각 6.31Mb, 0.43Mb, 4G LTE
방식
에서는 각각 35.82Mb, 17Mb로 조사됐다. 4G LTE를 기준으로 기존 기술과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비교하면 송신 속도는 비슷하지만 수신 속도는 최대 5분의 1 수준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구팀은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친환경적인 용매는 물입니다. 이 물로 반도체를 만들 수 있게 됐습니다.”신문처럼 둘둘 말리는 디스플레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 반도체로 세대교체가 이뤄진다면, 환경과 인체에 치명적인 유기 용매의 사용을 배제하는
방식
이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인터뷰] GIST 신입생대표 이민행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친구와 선생님에게 이해가 될 때까지 끊임없이 질문했다.“흐름을 따라가며 공부하는
방식
에 대해 고등학교 때 선생님으로부터 크게 칭찬받은 적도 있어요. 고등학교 때부터 이렇게 공부했더니 대학에 와서는 수학을 더 재미있게 공부하고 있답니다.”이 씨는 앞으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 ...
[과학뉴스] 중금속 오염수를 깨끗한 식수로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발표했다. MOFs는 값이 싸고 환경 친화적이며 인체에도 안전하다. 기존의 중금속 제거
방식
은 침전 현상이나 흡착제, 생체막 등을 이용했다. 하지만 이런 방법들은 가격이 비싸고 에너지 효율도 낮은데다 유독성 폐기물까지 배출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스위스 론 강과 폐수 처리장,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것이 원동력이었다. 하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한 뒤 분석하던 기존
방식
과 달리 메모리에서 저장과 분석을 동시에 진행해 데이터 분석 효율을 극대화한 기술이다. 이병호 학부장은 “국내 기업이 가치를 알아보지 못해 해외에 이전할 수밖에 없었던 기술”이라며 “학부 내 여러 ... ...
Part 4. 행성 탐사로 지구를 이해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탐사선이 화성의 궤도를 돌면서 관찰하거나 탐사 로봇이 표면에 착륙해서 관측하는
방식
이 대부분이었어요. 그래서 주로 화산과 암석, 계곡 등 화성 표면과 대기의 정보만 알 수 있었지요. 그런데 NASA가 5월에 발사하는 무인탐사선 ‘인사이트’는 화성의 내부를 들여다보는 임무를 수행할 ... ...
[과학뉴스] 공감능력 떨어지는 건 유전자 탓?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EQ테스트뿐만 아니라 타액 샘플을 분석해 나온 유전자 정보를 수학 모델에 입력하는
방식
으로 공감능력과 유전자의 상관관계를 찾았다. 그 결과 공감능력을 조절하는 유전 요인이 EQ 값을 유의미하게 결정했다. 연구팀은 공감능력이 낮으면 자폐증이 발병할 위험이 크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바론 ... ...
[과학뉴스] ‘꿈의 신소재’로 손상 없이 머리 염색?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그래핀 염색약은 식용 무독성 접착제를 이용해 그래핀을 모발 표면에 균일하게 감싸는
방식
으로 염색한다. 암모니아나 표백제 등 유독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 모발 손상이 없다. 또 30번 이상 세척해도 색이 유지돼 영구 염색약 기준도 충족한다. 황 자싱 교수는 “그래핀은 가볍고 유연하기 ... ...
[Tech] 기계식 키보드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흘러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원리입니다. 각각의 키가 개별적으로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
은 입력 신호의 혼선을 줄여줍니다. 대중적인 보급형 멤브레인 키보드와 비교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멤브레인 키보드는 키를 누르면 밑에 깔려 있는 고무(멤브레인)가 눌리면서 전류가 흐르고 신호가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불쾌한 골짜기를 넘을 수 있도록 두 가지 연구를 진행 중이다. 우선 AI를 활용하는
방식
은 사람의 표정을 AI가 학습한 뒤 로봇의 모터를 무작위로 작동시켜서 사람의 표정과 가장 흡사한 표정을 찾아내는 기술이다. 이는 에버의 표정 구현에 적용했던 얼굴움직임부호화시스템과는 다른 접근법이다.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