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epilogue 신체능력격차시대 올까
과학동아
l
200804
업그레이드하는 비용이 억만장자라도 꿈을 못 꿀만큼 비싸다. 서울대 공대 의공
학과
이정찬 박사는 “미국형 심장의 1/10가격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는 한국형 인공심장도 수술비용까지 합하면 5000만 원 이상으로 비쌀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도 가격으로 전신을 수술하면 500억원까지는 아니겠지만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04
최근까지 아무도 이런 실험을 해볼 생각을 하지 않았다.10여년 전 미국 플로리다대 동물
학과
토드 팔머 교수팀은 아프리카 케냐의 들판에서 생태연구를 하고 있었다. 그 일환으로 들판을 나눠 한 구획에 전기가 흐르는 울타리를 쳐 코끼리나 기린, 영양 같은 초식동물의 접근을 막았다. 그로부터 ... ...
망태버섯의 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200804
제주도 사람들이 좋아하는 식용버섯 중에 말똥버섯이라는 게 있다. 이 버섯은 이름처럼 섬에 많이 사는 말이 싸놓은 똥에서 자란다. 말똥버섯(큰갓버섯)에서 떨어져 나온 포자(씨앗)는 바람에 실려 날아다니다 풀잎 위에 떨어지고 소나 말이 이 풀잎을 먹을 때 동물의 몸속으로 들어간다. 포자는 ... ...
별을 그대 가슴에 안겨주는 천문학 에세이
과학동아
l
200804
싶다는 욕망을 불끈 솟아오르게 만드는 초봄의 비타민 같은 책이다.박석재서울대 천문
학과
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대에서 블랙홀 천체물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대전시민천문대 건립을 제안하며 천문학의 대중화에 헌신했고,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를 창립했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03
국가핵융합연구소에서 멘토링을 가진 뒤 6개월 만에 연구소를 찾는다는 건국대 신소재공
학과
4학년 박주현 양은 대전행 KTX 차내에서 당시를 떠올리며 미소지었다. 당시 3학년이던 주현 양은 ‘이 공부를 계속해야 할까?’라는 의문에 답을 찾으려고 고민하고 있었다. WISE의 멘토링 인턴십 과정에 ... ...
한강에 모인 새 박사들
과학동아
l
200803
모아 각 대학에서 전시회를 열기도 한다. 동아리 연합회장인 박재현(계명대 디지털영상
학과
03학번) 군은 “새에 대한 지식이 특별히 많기보다는 새를 좋아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라며 “동아리에 들어오면 선배로부터 새의 종류와 특징을 배운 뒤 탐조를 나가 새를 직접 본다”고 설명했다.매년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03
내보고…. 5년 동안 실험실 생활의 진수를 골고루 맛본 신 교수는 2005년 한양대 생명과
학과
에 부임했다. 내 만화는 블랙 유머“미국생활이 끝날 즈음에 한 선배로부터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http://www.kosen21. org)의 웹진에 만화를 연재해보라는 제안이 있었습니다. 이국(異國)에서의 박사후 ... ...
분자로 만든 북
과학동아
l
200803
서로 다른 ‘분자 북’이 내는 고유한 소리를 구분할 수도 있다.미국 스탠퍼드대 물리
학과
하리 마노하란 교수팀은 모양이 각기 다른 분자 북을 만들어서 그 안에 전자를 넣고 진동시킨 뒤 소리를 관측해 비교한 결과를 ‘사이언스’ 온라인판 2월 8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원자현미경으로 구리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03
그 직전의 순간에 우리가 어떤 기대를 하고 있었는지 알 수 있다.” 미국 하버드대 심리
학과
대니얼 길버트 교수의 설명이다.이처럼 우리는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상대방의 의도를 추측할 수 있고 남도 그럴 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분위기 파악 못하고 딴소리 하거나 엉뚱한 행동을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03
새로운 관점에서 나온 결론이었기 때문이다.미국 일리노이대 유전발생
학과
칼 우스 교수는 미생물학자로 효과적인 미생물 분류 방법을 고민하고 있었다. 미생물은 식물이나 동물처럼 형태의 특징을 기준으로 분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우스 교수는 당시 급격히 발전하고 있던 분자생물학을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