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 살갗에 도전하는 인공피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가하는 방법(교반)을 병행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물리적 힘을 가해 표피줄기세포의 결합
부위
를 약하게 하면서 효소로 분리하는 방법인 셈이다. 표피줄기세포는 세포내 단단한 뼈에 해당하는 물질인 케라틴(keratin)을 대량생산하므로 물리적 힘에 견디는 능력이 우수해 이런 분리법의 적용이 ... ...
로봇이 청소해주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갖고 있다. 또한 사람의 음성을 인식하며 e메일과 증권·날씨 등의 정보를 로봇의 가슴
부위
에 달린 화면창과 음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내년쯤 50만원대에 시판될 계획이다.로봇 가전은 황금알을 낳는 거대한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지난해 전세계 개인용 로봇 시장은 약 1백억달러 규모였다.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대응하는 한 쌍의 유전자 대립인자라고도 한다상동염색체(相同染色體)가 서로 대응하는
부위
인 상동의 유전자 자리를 차지한다대립유전자는 기호화하여 표시하며 우성은 알파벳의 대문자로, 열성은 소문자로 표시한다천체 망원경에 2~4개의 접안경을 회전식으로 조립한 장치 접안경들의 ... ...
2 말하고 생각하는 능력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활동했으나, 지금은 그 기능을 상실한 ‘유사유전자’(pseudogene)가 염색체의 말단
부위
를 중심으로 유전체 곳곳에 퍼져있다. 그러나 인간 유전체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이런 정보들이 인간의 진화과정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그래서 일부 과학자들은 이 유전체를 ... ...
1 인간은 머리기른 침팬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대조군으로 이용된 쥐 유전자는 영장류와 아무런 유연관계도 보이지 않았다.유전자
부위
따라 달라지는 상동성사실 이런 주장이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1991년 생리학자이자 생태학자인 제레드 다이아몬드 박사는 인간을 ‘제3의 침팬지’라고 불렀다. 지구의 침팬지는 흔히 침팬지라 ... ...
2 힘세고 오래가는 에너지 활용비법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건물의 경우 10-3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창문이 건물외피 중 열적으로 가장 취약한
부위
이기 때문이다. 동일한 면적일 때 창문을 통해 빠져나가는 열은 벽체나 지붕의 6-7배 정도가 된다. 따라서 단열성이 높은 유리창의 개발은 에너지절약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데, 이런 에너지절약형 창 중 ... ...
보석 일상생활에서 첨단기기까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백94nm 파장을 이용하면 피부의 다른
부위
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선택적으로 점 같은
부위
에만 높은 에너지를 가해 이 부분을 태워낼 수 있다.레이저는 의학용 외에도 파장과 출력에 따라 반도체 소자 위에 숫자나 회사로고를 새기는 일, 금속을 절단하는 일, 홀로그램을 만드는 일 등 다양한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우수해져 인체가 산소를 더 많이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이 메커니즘은 목
부위
에 있는 ‘경동맥 소체’(carotid body)라는 작은 기관에서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액 속의 산소 농도가 낮으면 경동맥 소체에서 허파에게 환기량을 증가시키라는 명령을 내린다. 이때 환기량은 ... ...
② 사스 동물 바이러스 돌연변이가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실시했다. 연구팀은 중합효소연쇄반응(PCR)으로 유전자 증폭이 가능한 특정 유전자
부위
에 대한 염기서열 해독을 실시했다. 해독 결과는 독일 생명공학기업인 아르투스사에 제공돼 사스 감염키트를 개발하는데 활용됐다. 이 키트는 사스 의심환자에서 검출한 바이러스 유전자를 증폭시켜 ... ...
① 나노 세계의 전투생명체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한다. 우리 몸의 표면은 피부로 덮여 있는데, 피부는 미생물이 가장 먼저 접촉하는
부위
다. 피부는 세포로 구성되긴 하지만, 보호막을 갖고 있어 바이러스 감염의 문이 아니라 장벽 역할을 한다. 그러나 피부에 상처와 같은 틈이 있으면 얘기가 달라진다. 수혈환자나 마약사용자에게 HIV가 전염되는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