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체 결합과 분리의 딜레마 샴쌍둥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수술할 수 있는 시기도 빨라졌다. 적절한 수술 시기는 결합한 신체
부위
의 구조나 두 아이의 성장 속도에 따라 결정한다. 그러나 수술 시기를 지나치게 늦추면 좋지 않다. 빨리 수술할수록 자신이 남들과 다르게 태어났다는 사실을 기억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국 스피즈와 ... ...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구조적으로 변화를 일으켜야 한다. 생명과학자들은 중요한 기능을 하는 부분(활성
부위
)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다른 분자들이 단백질 분자와 어떻게 결합하는지 볼 수 있기를 희망한다. 하지만 이것은 생체에서 1백만분의 1초(10-6초)란 짧은 시간 사이에 일어나는 다이나믹한 과정이다. 만약 이 과정을 ... ...
48시간 동안만 재생되는 일회용 dvd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불과하다이에 비해 방사선 생물학자들에게는 생체 내에 특히 방사선의 피해를 쉽게 받는
부위
를 조사하는 것이 방사선 생물학 초기의 연구과제였다그 후 많은 연구를 통해 척추동물의 조혈조직 · 장점막 등이 방사선에 특히 높은 감수성을 가진다고 밝혀졌다방사선의 조사(照射)로 인해 물질(주로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인체의 신진대사를 떨어뜨린다. 냉각의 대가로 1시간 남짓 심장박동을 멈출 수 있어 수술
부위
로 혈액이 흐르지 않게 되므로 이 시간 동안 의사는 피범벅이 되지 않고 수술을 깨끗이 마칠 수 있다. 초저체온 수술법은 현재 서울중앙병원 흉부외과 송명근 교수팀이 62명을 수술해 60명을 완치시킬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바이러스처럼 세포막을 여닫으며 세포 안팎으로 들락거리면서 세포와 조직의 손상된
부위
를 수리한다.드랙슬러는 이러한 나노로봇이 개발되면 냉동보존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요컨대 인체 냉동보존술의 성패는 저온생물학 못지 않게 나노기술의 발전에 달려 있는 셈이다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식인 풍습의 영양학적 동기를 예시한 바 있다. 이 경우 심지어 인육이 식도락 차원에서
부위
별로 매매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는 기록도 있다. 그리고 식인 행위는 증오의 표현과 해소라는 단순한 심리적 동기에서 적을 대상으로 자행되기도 했다.그렇지만 많은 식인 풍습에는 특별한 믿음과 연계된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수술의 한 방법 즉 동맥이나 정맥에 심한 협착(狹窄)이나 폐색성 병변(病變)이 있을 때 그
부위
의 중추측과 말초측(末梢側)에 대용혈관을 사용하여 문합(吻合)해서 대용혈관을 통해 충분한 혈액을 말초에 흐르게 하는 수술을 말한다 1836~1906 러시아의 화학자 독일계이며 페테르부르크 태생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것인데, 생리적으로 무해한 자극이 자율신경계를 거쳐 자극
부위
에서만이 아니라 먼
부위
까지 병변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자를 구성하는 약 300여 종의 소립자 중의 하나 유럽 합동원자핵 연구소와 프랑스의 원자연구소가 280억 eV(전자볼트)의 가속장치를 사용하여 발견했다 양성자를 ... ...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것이므로 신선도가 떨어진다. 수박은 특유의 파란 줄무늬가 뚜렷하고 선이 진하며 꼭지
부위
가 움푹 들어간 것이 좋다. 또한 두들겨 보았을 때 청음이 나야 하며 크기에 비해 비교적 가볍게 느껴지는 것이 좋다.신선도가 저하될 경우 나타나는 기본적인 증상은 과일의 표면이나 조직의 수분이 ... ...
3 근육 단백질로 100% 효율의 모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담당한다. 이런 연구의 주요 목표는 약리학적으로 적절한 전달 속도와 양을 특정 신체
부위
에 방출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인류의 건강과 풍족한 먹거리, 그리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산업이 미래의 최적 산업으로 각광받을 것이 자명하므로, 나노기술과 융합한 바이오기술을 통해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