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계학습, 너는 어떻게 학습하니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기계에
문제
와 정답이 있는 데이터를 충분히 학습시킨 뒤 새로운
문제
데이터의 정답을 구할 때 사용하는 기계학습법을 ‘지도형 기계학습’이라고 합니다. 지도형 기계학습은 주로 데이터를 분류하거나 알 수 없는 값을 예측할 때 사용하죠. 최고의 바둑기사는 사람이 ... ...
한눈에 익히는 연립방정식과 기계학습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 2원 연립일차방정식 풀이법2원 연립일차방정식의 풀이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같은
문제
에 대해서 두 가지 방법으로 풀어볼게요. 예시를 보고 잘 따라 풀어보세요! ➊ 가감법각 방정식에 적절한 상수를 곱한 다음 방정식끼리 적절히 더하거나 빼서 미지수 한 개를 없앤 뒤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 ...
전략 회의 10분 전! 폴리매스란 무엇일까?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반복 정도에 따라 단순
문제
를 결정지을 순 있겠지만, 그 의도가 나쁘지 않다면 해당
문제
에 대해 토론하고 발전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
폴리매스, 궁극의 목적을 향하여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대해 회원들과 함께 수학적으로 논의하는 회원들에겐 일괄적으로 100포인트가 지급되며
문제
를 해결한 회원에게도 500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한 달만 진행하는 이벤트가 아니라 장기적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라네. 많은 친구가 폴리매스 갈등 회복 프로젝트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 ...
[진실 혹은 거짓] 수학으로 사건 해결! 거짓 법과 수학, 우리 친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정리를 풀기 위해 만들어진 각종 이론이 수학을 크게 발전시키면서 엄청 유명해진
문제
야. 그런데 놀랍게도 페르마는 수학자가 아니었어! 프랑스의 변호사이자 재판소의 판사였지. 게다가 프랑스 툴루즈 지방의회의 의원이기도 했어. 페르마에게 수학은 취미 중 하나였어. 사실 페르마가 생전에 ... ...
[이달의 과학사] 세계 최초의 액체 연료 로켓 발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않아 원하는 장소로 발사하기 어려웠어요.로버트 고다드는 액체 연료를 사용하면 이
문제
를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액체 연료와 산화제*를 따로 저장해 두었다가 발사할 때 이를 섞는 것이죠. 액체 로켓은 고체 로켓보다 구조는 복잡하지만, 추진력을 조절할 수 있었어요. 고다드는 인간이 ... ...
[에디터노트] 환경 특집호를 시도하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정보 공개를 중심으로 주요한 논란점을 짚어 봤습니다.두 편의 서사 작품도 기후
문제
를 소재로 합니다. 해도연 작가가 쓴 신작 SF 단편 ‘랄로랑이’는 기후변화 대응에 실패한 인류의 미래를 아프면서도 아름답게 그려냈습니다. 약 7개월에 걸쳐 연재할 만화 ‘미스터리 온도계의 비밀’은 ... ...
‘뉴락’ 장한나 작가 “플라스틱 시대를 작품으로 기록합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작품들을 통해 현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물론 미래에서 살아갈 후손들이 우리가 환경
문제
에 대해 얼마나 많은 관심을 가졌는지, 어떻게 받아들여 왔는지 알지도 모른다.그는 5월 말부터 인천아트플랫폼에서 환경을 주제로 활동하는 작가들과 공동 전시를 시작했다. 장 작가는 “작품을 통해 ...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논쟁, ‘투명성’에 주목해야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평균 농도는 환경방출기준인 리터 당 2000Bq보다 훨씬 낮은 54Bq로 그대로 방류할 수 있다.
문제
는 삼중수소다. 오염수의 삼중수소는 리터 당 73만Bq 수준이다. 일본의 삼중수소 환경방출기준은 리터 당 6만Bq으로 오염수는 이를 10배 이상 초과한 상태다. 국제보건기구(WHO)의 음용수 기준은 일본보다 낮은 ... ...
“과학과 지식 공유 막아선 안 돼”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쉽지 않은 개발도상국이 다수일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른 결과였다. 엘바키얀도 이
문제
를 인식하고 있다. 그는 “사이허브의 사용이 보편화되며 목표 대상이었던 논문 접근이 어려운 연구자 말고도 다양한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뜻”이라며 “일각에서는 (사이허브 때문에) 논문 이용에 대한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