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하려면 소수점 이하가 끝도 없다.각도의 기준이 하늘을
관측
하는 데서 시작한 만큼 별을
관측
할 때면 각도기 없이 각도를 잴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팔을 앞으로 쭉 편 상태에서 한 뼘은 20°, 엄지손가락은 2°에 가깝다. 만약 오늘 밤 달의 고도가 궁금하다면 팔을 펴서 엄지손가락 끝을 지평선에 맞춘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눈으로 섬 숲에 하얀 눈꽃이 만발했다. 평소 때면 상춘객들로 북적였겠지만 이날은 기상
관측
이래 22년 만에 4월 중 가장 늦게 내린 눈으로 섬은 온통 적막에 휩싸였다. 홍도는 겨울철에도 항상 푸른 잎의 상록수 숲으로 우거질 만큼 날씨가 온화하다.1965년 4월 7일 홍도는 섬 전체가 천연기념물 17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건물이 가지고 있는 쉴드도 같은 원리로 생각할 수 있다. 암흑 기사(Dark Templar)나
관측
선(Observer)의 경우에는 주변의 공간을 휘게 하는 기술로 투명인간처럼 아예 모습을 감추기도 한다.만약 쉴드가 보호막의 개념이 아닌 갑옷의 개념이라면 어떨까. 공격을 받고도 피해를 입지 않는, 즉 자연적으로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펄스 레이저가 물체에 부딪힌 뒤 튀어나오는 신호를 이용해 순간을 포착하는 것이
관측
원리다.레이저의 펄스를 극초단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은 뭘까. 마침 APRI에서 안식년을 보내고 있는 국내 극초단 펄스 레이저 전문가인 KAIST 물리학과 남창희 교수를 만났다. 그가 이끌고 있는 ‘결맞는 X선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서로 다르다. 따라서 역사 지진만으로 대지진을 예측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 지진
관측
전문가들의 견해다. 지진 규모진원에서 발생한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발생한 지진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 규모가 1이 커질수록 에너지는 32배 더 커진다. 반면 진도는 일정한 지점에서의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짧은 시간 동안 나노 수준의 작은 공간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이다 보니 기계로
관측
이 이뤄진 것은 최근에 와서다.김 교수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스핀파 현상을 실생활의 기술에 응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강력한 스핀파를 발생시키고, 이 파동의 위상을 조절해 정보를 전달하고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휘어지는 정도를 계산했다. 그리고 1919년 영국의 천문학자 아서 에딩턴은 개기일식을
관측
해 태양 뒤에 있는 별에서 나오는 빛이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만큼 휘어진다는 사실을 알아 냈다.이처럼 수학으로 예측한 사실이 훗날 실험에 의해 사실로 밝혀지는 경우는 많다. 이제 수학은 자연 현상을 ... ...
무한을 향한 도전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중심은 지구라고 믿었기에 부르노는 공개적으로 화형을 당했다. 그 뒤 뉴턴의 법칙과
관측
기술이 발달하면서 태양계가 속한 우리 은하 같은 외부 은하가 무수히 있다는 우주관이 받아들여졌다.한편 갈릴레이는 ‘수학적 담화와 증명’이라는 책에 무한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는 자연수와 제곱수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교수가 어느덧 이런 역할을 자처할 입장이 됐다. 그가 학회에서 돌아오던 날, 제자 3명이
관측
을 하기 위해 칠레로 출국했다. 1▼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공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구글지도와 위치기반서비스(LBS)를 결합해
관측
지 정보를 공유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이 같은 과학의 협업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설을 실험하고 검증하는 과학자들이 점점 늘고 있다. 단지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