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스페셜
"
논문
"(으)로 총 2,283건 검색되었습니다.
마크로젠-서울대병원 "코로나19 바이러스 9개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전자현미경으로 본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모습이다. 마크로젠 제공.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과 서울대 병원 연구팀이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을 활용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의 전장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9개 변이가 발견됐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중국 우한 지 ... ...
[이덕환의 과학세상]야생동물 식습관만 탓할 일 아니다
2020.02.19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에너지‧환경‧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2500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거의 모든 것의 역사》를 번역했고 주요 저서로 《이덕환의 과학세상》이 있다 ... ...
코로나19 에이즈바이러스와 관련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반박하면서
논문
은 철회됐지만 이를 검증하는
논문
이 나오지 않으면서 음모론은 이어지고 있다. 이번에 연구팀은 두 바이러스 간에 특히 수용체가 유전적으로 닮았다는 인도 연구팀의 주장을 확인하기 위해 두 바이러스 수용체의 유전정보를 분석했다. ... ...
美연구진 "코로나19, 사스보다 더 전염 잘 되는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분석한 결과 사스보다 최대 20배 인간 세포에 더 달라붙는다는 연구결과를 바이오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에 이달 15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저온전자현미경을 활용해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부분을 0.35나노미터(㎚·10억 분의 1m) 해상도로 3207회 촬영하고 그 ... ...
[강석기의 과학카페]스트레스는 어떻게 흰 머리카락을 늘리나
2020.02.18
과도한 분열과 분화를 유도해 고갈로 이끄는 걸까. 이에 대해 연구자들의
논문
에서 “아직 모른다”면서도 “진화적으로 보존된 경로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강한 햇빛이나 자외선에 노출됐을 때 몸을 보호하기 위해 멜라닌을 많이 만들어야 하는 메커니즘이 진화했지만 아주 정교하지는 못해 ... ...
계속되는 '0번 환자' 음모론…"우한 실험실 바이러스 유출" 주장 中
논문
살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논문
을 2일 철회됐다. 이달 16일 오후 열린 확대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도 이
논문
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이에 박능후 중수본 본부장(보건복지부 장관)은 “하나의 큰 감염병이 발생해 확산하면 으레 여러 가지 음모설도 나오고 주장도 나온다”며 “정부 차원에서 면밀히 보고는 있으나 ... ...
[인류와 질병] 전염병과 의사의 끝나지 않는 전쟁
2020.02.15
것보다 일단 병원에 가는 것이 지혜로운 선택이다. 신종 코로나 사태 이후 수많은 의학
논문
이 쏟아져 나오고, 다양한 연구가 광속으로 진행되고 있다. 아마 곧 전염병에 큰 타격을 날릴 새로운 백신이나 항생제 혹은 공공보건 혁신이나 전혀 예상하지 못한 의학적 진보가 일어날지도 모른다. ... ...
美연구자 "코로나19 잠복기 14일보다 길 수 있어…WHO 정보 업데이트 느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있다는 소문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그는 “관련 내용은 (생물학과 의학 분야 학술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 바이오아카이브에 올라온 것”이라며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일이라 ‘증거가 전혀없다(Zero Evidence)’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전염병을 연구하는 진화생물학자로 현재 코비드 ... ...
'코비드19, 코로나19는 뭘까?'…헷갈리는 작명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0.02.13
코로나바이러스-2(SARS CoV-2)’라는 이름을 붙여 생명과학 분야
논문
사전공유사이트 바이오아카이브에 공개했다. ICTV의 의견은 코로나바이러스 전문가인 코로나바이러스연구그룹(CGS)의 조언을 받은 이름이었다. 2002~2003년 유행한 사스와 이번 감염병을 일으킨 병원체가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출판의 급진적 변화를 위해
2020.02.13
등에 연구를 증빙할 수 있는 좋은 도구로도 작동하며, 학회나 출판사 등이 해당 주제의
논문
을 검색하고 저자를 초청하는 용도로도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프리프린트는 연구의 빠른 공유를 통해 학문 생태계의 건강한 발전에 기여한다. 프리프린트는 모든 분야의 학문에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