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뉴스
"
반
"(으)로 총 1,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과학은 인류애를 실천하는 방법”
과학동아
l
2015.06.02
201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랜디 셰크먼 박사가 호암재단 청소년 강연회에서 강연하고 있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노벨상 상금이요? 전부 학교에 기 ...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아 모집했다”며 “원래는 신청자가 더 많았지만, 모두 올 수 없어
반
별로 2명씩만 선발했다”고 말했다. ... ...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05.29
더 빨리 움직이는 물체는 인간에게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나도 모르게 뇌가 강하게
반
응하는 것이다. 미군에서 HMD를 쓰고 훈련하는 모습. - 미육군 제공 ○ “가상현실에서 새가 될 수 있다” [INTERVIEW] 스위스 취리히 예술대 맥스 라이너 교수 실재감을 높인 몰입형 가상현실은 우리에게 어떤 ... ...
[신문과 놀자!/박병하의 수학 다르게 보기, 제대로 보기]짧은 막대로 건물 높이를 잴 수 있어요
동아일보
l
2015.05.27
4는 2가 맞아요. 2 나누기 4도 빵 2개를 4명에게 나눠 주기로 생각하면 되니까 한 사람이
반
씩, 그래서 /12이 맞습니다.” ○ ‘8 나누기 4’는 빵 8개를 4명에게 나눠주기? 그때부터 내 마음은 조마조마하였다. 강연자는 존경받는 분이고 나도 그분을 존경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수학이지 않은가. 뭔가 ... ...
[광화문에서/윤신영]‘잡식 가족’을 許하라
동아일보
l
2015.05.19
두 가지 중 하나다. 고기를 먹지 않는 사람에게 고기를 권하면서 벌어지는 어색한 갈등과
반
대로 고기를 먹겠다는 사람에게 먹지 말라고 권하면서 벌어지는 분위기 싸해지는 갈등. 남에게 뭘 권하지 못하는 나는 주로 전자를 겪는데 심지 굳은 감독은 후자의 상황을 선택한 듯했다. 평화주의자인 ... ...
억양과 발음 달라지면 이해력 떨어져
2015.05.18
더 줄어들었다. 미국인 표준 발음을 들었을 때에는 80% 정도가 세 번째 단어를 기억해낸
반
면 한국 억양이 들어간 발음을 들었을 때에는 70% 정도의 사람만 단어를 떠올렸다. 익숙하지 않은 억양이 정보 전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18일 미국 피츠버그에서 열린 ‘제169회 ... ...
그래, 과학은 원래 재미있는 것이었지!
2015.05.17
꾸려가다 우연한 기회에 과학자의 조수로 과학계에 발을 내딛은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반
면 변호사의 아들로 태어난 맥스웰은 어려서부터 천재성을 발휘하며 14살 때 이미 왕립학회에 논문을 발표한 천재였다. 공통점이 있을까 싶은 두 사람은 전자기학이라는 강력한 끈으로 얽혀 있다. 그리고 ... ...
“모든 변화는 잡지 한 권에서 시작됐어요”
2015.05.14
책을 펼쳐 놓고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얘기하고 있더라고요. 이제
반
아이들 모두가 과학 상식이 풍부해져서 수업 시간에도 다양한 질문을 할 때가 많아요. 어린이과학동아, 정말 고마와요.” ... ...
“수포자 되살리는 스토리텔링, 수학동아가 딱이죠”
2015.05.13
기사 내용을 확인해 보게 하는 수업이었다. “수학동아리 뿐만 아니라 담임을 맡고 있는
반
제자들도 수학동아를 접하게 해주고 싶습니다. ‘1학급 1과학동아’ 캠페인에 참여한 것도 그런 취지였어요. 보다 많은 학생이 수학을 읽고 토론하는 기회를 접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왼쪽)이 오늘날 널리 쓰이고 있다. 즉 세균/고세균/진핵생물이 각각 역(domain)을 차지한다.
반
면 최근 고세균의 한 그룹에서 진핵생물이 진화했다는 가설이 등장하면서 ‘2역 분류법’으로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네이처’에 발표된 고세균 로키아케오타 발견은 2역 분류법을 ... ...
수면 부족하면 위험상황에서 판단 실수 부른다
2015.05.11
반
면 충분히 쉰 참가자들은 최소 8개에서 최대 16개의 ‘go’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반
돈젠 박사는 “수면 부족인 사람의 뇌는 급변하는 상황과 자신의 행동에 대한 피드백을 적절히 처리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