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뉴스
"
반
"(으)로 총 1,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예술가를 사랑한 컴퓨터
과학동아
l
2015.10.29
스타일(S)로 바꾼 결과(R). 왼쪽은 내용에 초점을 맞춘 결과고, 오른쪽은 스타일을 적극
반
영한 결과물이다. - GIB/ 유택근 제공 거장 두 명의 스타일을 융합할 수도 있다. 꿈에서나 그리던 고흐와 뭉크의 콜라보레이션이 컴퓨터로 가능해진 셈이다. 방법도 간단하다. 스타일을 참고할 그림을 한 장 더 ... ...
바나나에서 만병통치약 실마리 찾아
2015.10.25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어윈 골드스타인 미시간대 교수는 2010년
반
렉이 에이즈 치료제와 맞먹는 효과를 가진 물질이라는 사실을 밝혀내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기도 했다. 마코비츠 교수는 “아직 임상실험 단계는 아니지만 향후 광범위한 항생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 ...
시각은 후천적으로 학습 가능한가
2015.10.25
만들어내지 못했다. 그러나 차츰 사물의 형태와 색상을 구별해 볼 수 있게 됐고, 1년
반
이 지난 후엔 모든 것을 정확히 볼 수 있게 됐다. 이번 연구로 연구팀은 우리 뇌가 후천적으로도 시각을 학습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시각의 어떤 부분이 선천적으로 획득되고 어떤 부분이 ... ...
적색거성 중심의 자기장은 지구의 1000만 배
2015.10.23
들어 ‘쌍극자 모드’가 되면 별의 밝기는
반
으로 나뉘어 한쪽
반
구는 밝아지고 다른
반
구는 어두워지는 식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013년 케플러우주망원경으로 몇몇 적색거성에서 이 쌍극자 모드의 진동이 감소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적색거성은 크고 밝지만 질량이 작고 표면온도도 낮아 ... ...
[광화문에서/윤신영]인생을 바꿀 과학자와의 만남
동아일보
l
2015.10.21
하자는 외침에 수십 명의 과학자와 공학자가 화답했다. 과학기술계의 언저리에
반
발 걸치고 있는 나도 그 외침에 공감해 강연자로 참석하기 시작했고 그게 벌써 여섯 해째 이어지고 있다. 첫해에 전국 29개 도서관에서 열렸던 행사는 이후 점점 규모를 키워서 많을 때에는 전국 43개 도서관에서 거의 ... ...
수시 면접파-논술파, 정시파… 혼란의 고3 교실 ‘각자도생’?
동아일보
l
2015.10.08
때문에 교총에서는 최근 “3학년 교실의 혼란을 막으려면 3학년 2학기 내신까지 대입에
반
영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또 “이렇게 교실이 혼란스러울 바에는 수능을 8월로 앞당겨 시행하는 것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임현석 기자 lhs@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 ...
[신나는 공부]"강의보단 코칭이죠"
동아일보
l
2015.10.06
늘면서 대규모 종합학원들을 중심으로 수시모집에 특화된 프로그램을 만드는 현상도 일
반
화됐다. 학생의 꿈, 성향을 고려해 학교생활 및 비교과 활동에 대한 조언을 해주거나 대입 수시모집 기간에 단기 무료 컨설팅을 제공하는 것. 수능 고득점을 위한 비법을 콕콕 집어주던 과거와 달라진 ... ...
입학 3개월만에 국가 SW경진대회 대상 ‘마이스터고’의 힘
2015.10.02
모든 일을 서로 협력해서 진행하는
반
면 학교에서는 혼자 공부하고 혼자 평가받는 게 일
반
적”이라며 “학생들이 협업하며 공부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학원에 가거나 야간자율학습이 없는 대신 학생들은 기타 연주 등 방과 후 활동과 매일 쏟아지는 ... ...
야자열매, ‘떡잎’ 때 미리 품질 안다
2015.09.29
났다. 블룸 증후군은 상염색체의 이상으로 인해 생기는 질병으로 작은 체형, 과민성 홍
반
이나 면역 부전을 일으키고, 암 발병 위험도 높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서 배뒛 미국 베일러의과대 교수는 “유전자 분석은 미래 의료기술을 이끌어갈 핵심 기술 중 하나”라고 말했다. ... ...
잠이 보약… 코골이-근육통땐 옆으로 구부려 자면 ‘꿀잠’
동아일보
l
2015.09.25
시간대, 같은 양의 잠을 자는 게 바람직하다. 또 낮에 잠시 잠을 자는 것도 뇌의 규칙적인
반
응에는 도움이 안 된다. 이 때문에 이런 행동은 지양하는 게 좋다. 좋은 음식과 운동 등에 투자하는 만큼 잠자리 습관과 침실 환경에 투자하는 것도 권하고 싶다. 잠은 비교적 적은 투자로도 효과를 볼 수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