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닷물로 농사를 짓겠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반투막 때문에 소금
분자
가 골고루 양쪽에 퍼지지 못하지요. 그래서 대신물
분자
가 소금
분자
가 많은 곳으로 이동해 농도를 떨어뜨리는 거예요. 생물의 세포막도 대표적인 반투막으로, 같은 원리랍니다.”“그럼, 사람이 소금물을 마셔도 그런 현상이 일어난단말인가? 에그, 무서워라. ... ...
스스로 배열하는 ‘똑똑한’
분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흐름을 선도한다고 평가 받는다.특히 이 단장은 나노조립체 기술을 생물학에 접목시켜 초
분자
로 생체기능을 제어할 수 있음을 보였다.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의 만남’을 주선한 셈이다.나노조립체 연구는 기본적으로 화학이 근본이지만 다양한 학문 영역을 융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 단장은 ... ...
[생물]광학이성질체의 양면성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수용체는 효소 같은 단백질이나 핵산 등의 거대
분자
이며 약은 수용체에 결합하는 작은
분자
이다. - 2008학년도 건국대 수시 발췌 1) “거울 나라의 앨리스”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속편으로 거울 나라로 들어간 앨리스의 이야기다. 우리가 거울 나라로 들어간다면 거울 안 세계에서 몸에 ... ...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언어 잘 배우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해서 국제무대에서 낙오되는 건 아니죠.”미국에서 35년을 살다가 귀국한 이화여대
분자
생명과학부 이서구 교수의 설명이다. 아무리 영어가 유창해도 발표하는 연구내용이 그저 그렇다면 학회장은 텅 비어있게 마련이다. “일본 과학자들은 영어를 못하는 편인데 얼마 전 한 학회에서 저명한 일본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profile1943년 미국 출생1964년 미국 브랜다이스대 화학과 졸업1970년 미국 하버드대에서
분자
동역학 연구로 박사학위 취득1972년~현재 미국 IBM연구소 연구원1984년 양자암호 발명1989년 세계 최초로 양자암호 실험1993년 세계 최초로 양자 원격전송 개념 정립찰스 베넷 박사는 한글을 ‘열공’하고 있다. ... ...
세계 최고 성능의 질량분석기 개발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고유의 질량이 다르다. 예를 들어 질소
분자
(N2)와 일산화탄소(CO)를 비교해보자. 질소
분자
1개의 질량은 28.0135Da(달톤, 1Da=1.66×10-27kg)인 반면, 일산화탄소는 28.0101Da이다. 소수점 셋째자리 이하까지 정확히 측정해야 두 화합물을 구별할 수 있는 셈이다.수소, 탄소, 산소, 질소 같은 기본원소가 모인 ...
[화학]대기권을 통과하는 소리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의해 결정된다. 100km내 균질권까지 기권의 평균
분자
량은 일정하므로 매질 평균
분자
량에 의한 소리 속력의 변화는 없다. 기권을 구성하는 구성성분의 변화가 없으므로 일정-압력 열용량(Cp)과 일정-부피 열용량(CV)의 비인 γ도 일정하다. 소리의 속력은 온도에 의해서만 영향 받는다. 대류권에서는 위로 ... ...
누드달걀 과학 노트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달걀 속으로 물이 들어와 달걀이 터지므로 달걀분수를 만들 수 없다.⑤ 수성물감도
분자
크기가 크면 달걀 안쪽으로 들어가지 못하므로 되도록 식용색소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식용색소는 시중에서 구하기 힘들다. 실험기자재 판매처를 이용한다.⑥ 달걀 분수에서 뿜어져 나오는 색소가 튈 수 ... ...
나노막대로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길 연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김 교수팀은 실험 결과를 이론적으로 해석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연구단의 연구결과가 고
분자
분야 저널 뿐 아니라 권위있는 물리학 저널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같은 곳에도 실리는 이유다. 1993년 포스텍 화학공학과에 부임한 김 단장은 지금까지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한 다양한 나노구조물을 ... ...
[지구과학]구름이 하늘에 떠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수적의 집단인 구름이 고도를 유지하는 이유는 중력과 저항력이 아니라 다른 공기
분자
가 상승하면서 수적과 충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름은 상승 기류가 발생하는 곳에서만 하늘에 떠 있을 수 있다. 3) 병합이 잘 진행되려면 수적끼리 충돌해야 한다. 위에서 낙하하는 수적의 속력이 크고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