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작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종류가 있다. 또 자바공작이라고 불리는 진공작도 있다. 수공작들은 다른 꿩 또는 새들과
구별
되는 특징이 있다. 깃털이 자라면서 아름다운 색깔로 장식된다는 점이다. 생각보다 튼튼한 체질의 소유자꿩과의 새들은 다른 어느 새보다 일찍 사람들에게 길들여져 가축화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닭은 ... ...
수정후 이틀만에 태아 성감별해낸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세포 하나만 제거했다. 염색체의 DNA를 증폭시킨 뒤 특정한 DNA의 서열을 조사, 성을
구별
해낸 기법 역시 진일보한 것이다. 적어도 성감별이 가능한 시점을 훨씬 단축시켰다는 점은 평가할 만하다. 종래에는 착상이 돼야 비로소 성감별을 할 수 있었다.그렇지 않아도 성감별에 많은 비난이 따르고 ... ...
기억의 메커니즘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연상가가 높은 단어(예, 하늘-푸르다)와 또는 연상가가 낮은 단어(마당-춥다)로
구별
돼 짝지워졌다. 암기한 후에 인출하도록 한 결과 맥락으로 작용하는 단어가 표적단어의 회상에 좋은 단서로 사용됨이 입증됐다.□일화적 기억의 도식을 사용하라.우리는 많은 사건들을 겪으면서 살고 있는데, ... ...
인공보석의 실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프리즘으로서의 용도가 검토되고 있다.천연보석과 구분 어렵다인공보석은 천연보석과
구별
할 수 없을 정도로 잘 만들어지고 있다. 세계 보석시장에 나와있는 천연보석에는 인공보석이 약 40%정도 포함돼 있는 것이 현실이다.때문에 인공보석과 천연보석을 감별하는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 ...
마이크로의 세계로 인도하는 셈(SEM)과 템(TEM)의 나상(裸像)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일을 한다.주사회로는 주사신호발생회로 배율조정회로 렌즈전류조정회로 등으로
구별
되는데 이들은 서로 연관돼 있다. 주사신호발생회로에서 만들어진 주사신호는 경통내의 주사코일과 관찰 CRT 및 촬영 CRT 등에 보내어진다. 이들의 협력으로 동시주사가 가능해 지는 것이다.한편 영상신호 ... ...
파충류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구별
되는 악어악어류는 앨리게이터(Alligator)과 크로코다일(Crocodile)과 가비알(Ghavial)과로
구별
된다. 대개 열대와 아열대의 물이 있는 장소에서 삶을 꾸려가고 있다. 이들은 중생대부터 번성하기 시작했는데 그 후로 뾰족한 변화 없이 현재까지 생존하고 있다.이들은 겉으로 봐도 쉽게 식별된다. 또 ... ...
PART Ⅳ 자기부상열차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방식이다.자기부상열차가 궤도와 바퀴의 기계적인 접촉에 의한 '바퀴식'과 근본적으로
구별
되는 점은 역시 속도에 있다. 흡인식이냐 반발식이냐에 따라 궤도에서 뜨는 높이가 1cm, 10cm 등 차이가 있지만 자기부상방식은 바퀴와 궤도, 집전장치가 필요없기 때문에 시속 4백km이상으로 속력을 낼 수 ... ...
염소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hircus다. 산양이라고도 불리는 염소의 겉모양은 앙과 아주 비슷하다. 따라서 이 두 가축은
구별
하기가 매우 어렵다.염소의 수컷은 턱수염이 있고, 양에서 볼 수 있는 안하선(眼下腺) 서혜선(鼠蹊腺) 제간선(蹄間腺) 등이 없다. 반면 염소꼬리가 시작되는 부위 바로 아래에 냄새를 풍기는 미하선(尾下腺 ... ...
PART2 다가온 우주레저 시대 첫 우주관광여행은 1999년에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우주선 조종을 위해 많은 훈련을 받은 전문가이기 때문이다.'우주비행'과 '우주여행'은
구별
되는 개념이다. 비행기로 여행하는 일반인들이 아무런 신체검사나 특별훈련을 필요로 하지 않듯이, 어떤 자격이나 신체적 조건에 관계없이 우주선을 타고 우주정거장이나 우주호텔을 왕복할 때 우리는 ... ...
폰즈-플레이시만 발표 이후 1년 상온핵융합, 에피소드로 끝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있어 비록 에너지가 높은 양성자가 튀어나오더라도 곧 에너지를 잃어 중수속의 양성자와
구별
이 모호하게 된다. 3중수소는 양성자 하나에 중성자 두개가 붙어있는 불안정한 형태이므로 베타선과 헬륨3으로 곧 변환한다. 이 베타선을 측정하면 3중수소의 양은 알 수 있지만 중수속에는 원래 3중수소가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