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발걸음이 가벼워지는 특수 부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결과 걸음을 걸을 때 사용하는 대사 에너지가 약 7.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어요.논문의
공동
저자인 미국 노스캐롤리나대 그레고리 사위키 교수는 “앞으로 스키 부츠보다도 싼 가격으로 만들 수 있게 노력할 것”이라며 특수 부츠 기술을 상용화하겠다고 밝혔어요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통하는 플라스틱으로, 1977년 일본의 사라카와 히데키 박사와 미국의 앨런 히거 박사
공동
연구팀이 처음 개발했어요. 기존의 플라스틱은 탄소원자들이 하나의 고리로 연결돼 있는 구조예요. 이 고리는 원자들이 서로를 붙잡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전자가 움직일 수 있는 틈이 없지요. 그래서 전기가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유진 브렙도 박사와 섀넌 휴즈 박사, 듀크대 수학자인 인그리드 도브시 교수
공동
연구팀은 수학적으로 그림을 감정하는 기술을 개발했지. 그림을 스캔해 디지털 이미지로 바꾼 다음, 한 부분을 확대해서 세밀하게 분석하는 원리야.만약 디지털이미지가 8비트★짜리 흑백그림이라면 그림은 2의 ... ...
[Fun] 영장류학자가 찾은 인류 폭력성의 기원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공동
체 규모가 커진 탓에 폭력의 양과 질도 현격히 바뀌었다. 특히 현대의 전쟁은
공동
체를 지키고자 하는 인간의 사회성과 심리를 위정자들이 능란하게 조작해 벌어진다.‘폭력은 어디서 왔나’는 주이치 교수가 영장류학과 인류학을 넘나들며 인간 폭력의 기원을 찾아가는 여정이다. 전쟁으로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코넬대 기계항공공학과 호드 립슨 교수와 버몬트대 컴퓨터과학과 조시 본가드 교수
공동
연구팀은 바닥에 불가사리처럼 납작하게 누워 있다가 다리를 세우면서 일어나 걸어 다니는 ‘스타피쉬’ 로봇을 만들었다. 이 로봇은 관절마다 센서가 붙어 있어서 갑작스러운 신체 변화에 스스로 대응할 수 ... ...
수백 년 도자기 묵은때 화학으로 벗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함철희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연구사를 따라 들어간 방은 특이했습니다. 가운데 작업대에는 흙으로 빚은 토기가 놓여 있었습니다. 그런데 온전한 토기가 아니 ... 나오면 기존 결과를 기꺼이 수정하겠다는 과학자의 자세와 아주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공동
기획 :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장소가 많으면 많을수록 수치모델은 정확해진다.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40개 연구팀은
공동
조사 기간 동안 매주 서울 홍릉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 모여서 회의를 한다. 백령도와 제주도에서도 물 건너와 참석한다. 기자가 참관한 회의에선 활발하게 질문이 오고 갔다.“5월 25일 제일모직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앨퍼는 가모프 밑에서 박사학위논문 주제로 우주의 핵생성을 택하고 동료 로버트 허먼과
공동
연구에 들어갔다.1948년 4월 앨퍼의 학위논문 공개심사에는 이례적으로 기자들을 포함해 청중 300여 명이 모여들었다. 그런데 가모프는 납득하기 힘든 일을 저질렀다. 심사를 하기도 전에 미국물리학회 ... ...
아내에게 바치는 마지막 논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울산과학기술대(UNIST) 교수의 마지막 논문이 6월 30일 ‘셀리포트’에 실렸다. 논문의
공동
교신저자는 류성호 순천향대 의생명원연구원(SIMS) 교수로 도 교수의 남편이다.포스텍 91학번인 도 교수는 남편과 함께 유학길에 올라 2003년 미국 버지니아대 의대에서 면역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10년 중앙대학교 장석태 교수팀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올린 벨레프 교수팀과
공동
으로 엽록소를 섞은 물컹물컹한 젤로 태양전지를 만들었어요. 연구팀은 이 젤을 얇고 투명한 막에 발라 빛을 쪼인 뒤, 엽록소에서 생겨난 전자를 모아 전기를 만들어냈답니다.부비고 흘리면 전기가 펑펑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