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빛을 멈추기로 마음먹었다.투명한 빛은 느리다1999년 미국 하버드대와 스탠퍼드대
공동
연구진은 파장이 780nm인 근적외선 레이저를 매질에 통과시켜 초속 17m까지 늦추는 데 성공했다. 진공에서 잰 속도보다 천만 배나 느렸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이 빛을 ‘느린 빛(slow light)’이라고 불렀다. 연구팀이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평가하는 위원으로 3년간 활동하며 맥도널드 교수와 가까워졌다. 그는 우리나라와
공동
연구를 희망했고 국내의 영광 원자력발전소 부근에서 진행 중인 진동변환 측정 실험에 큰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세 종류의 중성미자 사이에 일어나는 변환에는 변환 세기를 나타내는 세 종류의 상수가 존재한다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대표적이다. 외계지적생명체 탐사 연구를 주도하는 미국 SETI 연구소, 호주화성협회와
공동
으로 진행 중인이 프로그램은 우주생물학에 관심이 있는 과학자, 교사, 학생이 극한 환경에 사는 미생물을 직접 조사한다. 뉴질랜드의 타우포 화산지대, 아프리카 나미비아 같이 화성의 화산활동과 유사한 ... ...
[창의] 모바일과 블록을 잇다, 모블로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블록을 쌓아 작품을 만들면 이를 디지털 콘텐츠로 저장할 수도 있다. 현재 KAIST 연구팀과
공동
으로 소형로봇과 모블로를 합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모블로는 현재까지 총 일곱 가지 콘텐츠를 갖췄다. 대표 콘텐츠인 ‘블록메이커’는 컴퓨터 화면 속 그림과 똑같이 블록을 쌓는 게임이다. 3D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여기에 들어갈 에너지를 다른 곳에 투자하면 생존력을 더 높일 수 있다. 슈나이더 교수와
공동
연구를 한 송경한 미국 스탠퍼드대 미생물면역학과 박사는 “숙주의 건강은 저항과 관용이라는 두메커니즘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결과”라고 말했다.에리스와 슈나이더 교수는 관용을 잘 이해하면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하는지를 조사해 경제 분야 이그노벨상을 수상했다.의학상 : 하지메 키마타 교수팀과
공동
수상한 슬로바키아 코메니우스대 나탈리아 카모디오 박사팀은 키스를 하고 난 뒤 10분에서 최대 60분 이내로 침의 DNA를 조사하면 키스 상대의 DNA 일부를 찾을 수 있다고 ‘국제법과학지’에 발표했다.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살 수 있는 거야?튼튼이 유전자를 넣어라~!2012년 프랑스 농업연구센터가 주도한 국제
공동
연구팀이 야생 바나나인 무사 아쿠미나타의 유전체를 모두 분석했어요. 당시 연구자들은 이 연구를 통해 야생 바나나가 파나마병을 이겨낼 수 있는 특별한 유전자를 갖고 있는지 알아내고자 했어요. 그러면 ... ...
백투더퓨처 2015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호버보드도 실제로 있다. 지난 6월 자기부상기술 전문가인 이비코와 IFW 드레스덴
공동
연구팀은 ‘렉서스 호버보드’를 개발해, 사람이 타고 날아다니는 모습을 유튜브에 공개했다. 아직까지는 30cm 정도 공중에서 15분가량 나는 수준이다. 하지만 U자형 길에서 묘기를 부리거나 물 위에서도 달릴 수 ... ...
[과학뉴스] 유령입자가 충치 막았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생성과정이 미스터리였다. 그런데 최근 미국 인디애나대와 유타대
공동
연구팀이 초신성이 폭발할 때 생기는 중성미자가 불소를 만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연구팀은 불소와 수소가 결합한 불화수소로 둘러싸인 별 79개를 찾아 이들의 중심에서 불소 농도를 관측했다. 연구팀은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화석으로 남지 않는다. 하지만 뇌가 들어 있던 뇌실(braincase)은 남는다. 이 뇌실의 내부(
공동
)는 안에 들어 있던 뇌의 모양과 거의 일치하는데, 공룡의 뇌를 연구하는 고생물학자들은 보존된 뇌실을 CT로 찍어서 연부조직인 뇌의 모양을 복원한다. 이렇게 3차원으로 복원된 뇌의 모양을 보면 공룡의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