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스페셜
"
부분
"(으)로 총 1,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사소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
2017.05.07
요소들이 될 거라고도 언급했다. 큰 노력을 들이지 않고 예상할 수 있고 설명할 수 있는
부분
들이 삶에 존재해야 삶이 탄탄하게 흘러가고 있다는 안정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매일매일의 스케줄이 뒤죽박죽이고 어제는 이 길로 갔던 버스가 내일은 다른 길로 가고, 어제는 이렇게 말했던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동성애에 반대한다? 성적지향에 대한 진실과 오해
2017.04.26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동성커플이 좋은 양육자가 되기 어렵다는 이야기들은 대
부분
잘못된 편견이다. ●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을 막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이성애자들은 보통 성소수자들에 비해 성적지향에 대한 잘못된 편견을 반박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위치에 있다. 사람들의 차별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것이다. 이게 과연 얼마나 예측력이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 얼굴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부분
이 유전성도 크다는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허황된 얘기는 아닌 것 같다. 혈연관계가 없음에도 얼굴이 꽤 닮은 경우는 아마도 얼굴의 핵심영역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가운데 같은 형이 많기 때문이 아닐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대한 거부감이 크고 단맛수용체가 민감한 사람은 덜 불쾌하게 느낀다. 물론 술 역시 이
부분
을 극복하면 쾌감(술에 취했을 때 기분 좋은 느낌?)을 주기 때문에 반복학습을 통해 불쾌함을 극복할 수 있다. 그러나 에탄올의 불쾌함에 민감한 유형인 사람은 이를 넘어서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알코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안 와 한참을 책을 읽다 다시 잠자리에 드는 날이 많은 필자는 늘 마음이 무거웠는데 이
부분
을 읽으며 큰 위안이 됐다. 아래는 17세기 영국의 시인이자 윤리학자인 프랜시스 퀄스가 남긴 말이다. “첫잠이 끝나면 휴식에서 깨어 일어나라. 그때 당신의 몸이 가장 상태가 좋을 것이다. 그때 당신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가 모기를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4.09
비율이 적으면 날개의 끝에서, 날개의 가로세로 비율이 크면 가슴에 붙어있는 날개 뿌리
부분
에서 복잡한 구조의 소용돌이가 발생해 비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입니다. 우리가 평소 모기를 쉽게 잡을 수 없는 이유가 혹시 이런 특별한 비행 실력 때문은 아닐까요? 모기 날갯짓의 특별한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아니요. 저는 뽀뽀하기 싫어요!”
2017.04.09
활발하게 진행중인데 그 중 아이들을 대상으로 ‘몸의 주권’에 관한 교육을 하는
부분
이 눈에 띄었다. GIB 제공 아이들에게 내 몸은 온전히 나의 것이므로 이 몸을 어떻게 쓸지는 나만이 결정할 수 있는 것이라고 가르치는 것이다. 일례로 부모님이 “누구누구 삼촌/이모에게 뽀뽀해주렴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애정과 열정을 쏟았다. 학과 구성부터 커리큘럼까지 조 그룹리더의 손을 거치지 않은
부분
이 없었다. 그는 "열정적으로 학교 일을 하다가 좀 더 연구에 몰두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이 기회를 주었다"고 말했다. 평소에 그는 학생들한테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이 되라'는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
2017.04.01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1. 자신의 행동을 점검할 것(self-examination) 2. 만약 책임져야 할
부분
이 있다면 그 책임을 받아들이는 것(acceptance of responsibility): 앞서 말했듯 나라는 사람보다 나의 구체적인 ‘행동’에 책임을 물을 것 3. 결과에 대한 인식(acknowledgement of harmful consequence) 4. 부끄러움, 죄책감 등 ... ...
죽음의 바다가 된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동아사이언스
l
2017.03.19
휴지스 연구원은 “아직 표백 현상에 안전한 지역은 수온이 상대적으로 낮은 남쪽
부분
”이라며 “해양생태계의 상징인 산호초를 지구온난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세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해 2월 26일(왼쪽)과 4월 19일(오른쪽)에 찍힌 그레이트배리어리프 산호초의 모습.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