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상
추측
가상
몽상
구상
팬시
허구
d라이브러리
"
상상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업의 필수 덕목, 돈과 사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짐작할 수 있다. 앱스토어, 구글, 페이스북의 무료 서비스에 실은 엄청난 비용이 든다고
상상
이나 하겠는가. 실제로 애플사는 무료 앱 전송과 저장에만 2억 4600만 달러(약 2800억 원)를 쓰고 있다. 이보다 어려운 것은 국내에서는 가장 핵심인 개발인력을 구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숙련된 개발자의 평균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입구 B로 여행하면 미래로 여행할 수 있다. [웜홀을 통과하는 여행자가 본 웜홀의 모습을
상상
한 그림. 검은 띠는 ‘사건의 지평선’이다. 이는 블랙홀과 화이트홀의 경계선이다.]아이디어의 기원웜홀을 이용한 시간 여행은 킵 손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이론물리학과 교수가 제안했다. 웜홀은 ... ...
2악장 - 큰 소리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유명해요. 기괴한 화음과 멜로디, 그리고 활의 등으로 현을 켜는 상식을 벗어난 주법 등
상상
력 넘치는 연주는 분명 청중들에게 충격으로 다가왔지요. 관현악을 이야기할 때 현악기를 빼놓을 수 없어요. 오케스트라의 꽃과 같은 존재거든요. 특히 바이올린은 주인공이에요. 유럽에서 오케스트라가 ... ...
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균을 묻혀서 파리를 찌르는 연구가 이처럼 엄청난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는 스스로도
상상
하지 못했을 것이다. “호기심에서 출발한 순수 기초 연구가 목표와 경제적 논리를 강조하는 응용 연구보다 더욱 중요한 업적을 낳는다”는 호프만 박사의 말을 기억했으면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반가운 소식을 갖고 돌아오기를 기다려 보자.[JAXA가 2014년 발사할 예정인 하야부사2의
상상
도. 2018년 목적지에 도착해 1년 반 동안 탐사한 뒤 2020년에 돌아올 예정이다.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되지 않지만 모든 바이러스의 무게를 합치면 전 세계 코끼리 무게의 1000배가 넘는다.
상상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수가 떠다니고 있는 셈이다. 우리는 평생 바이러스가 있는 공기를 호흡하고, 눈과 소화기를 통해 많은 바이러스를 접하며 살아간다. 이렇게 바이러스는 오랜 세월을 사람과 더불어 살며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킨제이 보고서를 떠올리게 한다. 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약간 다르다. 킨제이는 ‘
상상
만으로도 오르가슴에 도달하는 특이한 경우’도 소수(2%) 관찰된다고 보고했다. 코미사룩 교수는 ‘영국심리학회지’ 2008년 2월호에 발표한 리뷰논문에서 “꿈을 동반한 수면 상태에서 입술이나 손, 무릎 등을 ... ...
PART 1. F1에 도전장을 내다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도전한다‘타 보지 않은 사람은 모른다’라고 말할 정도로 F1 선수는 일반 사람들이
상상
하기 힘들 만큼의 한계에 도전한다. 선수는 커브 구간에서 최대 4.5G(중력가속도)에 이르는 힘을 견딘다. 일반적으로 2~3G를 1분 정도 느끼면 구토와 어지럼이 나타나고 3.5G가 넘어가면 의식을 잃는다. 1시간 30분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사람들에게 고마운 다리 역할을한다. 바로 엘리베이터다. 엘리베이터가 없는 세상은
상상
하기 어렵다. 고마운 엘리베이터가 들려주는 속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보자.배부른 엘리베이터의 변명‘런닝맨’ 팀이 여의도의 오래된 13층짜리 빌딩을 찾았다. 오늘의 미션은 각 층을 오르내리며 숨겨진 ... ...
쭉쭉 늘어나는 팔다리, 그녀의 이유 있는 변신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두께가 있는 원기둥을 살펴보자.두께가 있는 원기둥은 오른쪽 그림처럼 생긴 고무관을
상상
하면 된다. 그 다음 도형 안쪽에 손가락을집어넣어 뒤집으면 겉과 속을 뒤바뀌꿀 수 있다. 이는 우리 몸속의 소화기관과도 비슷한 상황이다. 이제 입과 항문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소화기관에 집중해보자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