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상"(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으로 뭉친 열정 아이돌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2호
- 무엇인지 찾아볼 수 있다. 홀랜드 검사에서 아이돌 스타와 관련된 직업은 예술형으로 상상력이 풍부하고 개방적이며, 독창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다. 또 표현하는 것을 좋아하고 충동적이고 용기가 있는 사람들이다.물론 홀랜드 검사로 진로를 완전히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진로는 오랜 ...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집에서도 오락실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을 때의 감동을 지금으로선 상상하기 어렵다.슈퍼컴 대신하는 게임기1970년대 등장한 가정용 게임기는 꾸준히 발전했지만, 한동안은 게임이라는 본연의 기능에 충실했다. 그런데 2000년대 들어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2, 마이크로소프트의 ... ...
- 2012 빛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빛이 주는 피해! ‘빛공해’햇빛 없이 조명으로 식물을 키우다니, 우리 때는 정말 상상도 못할 일이야! 으…, 갑자기 눈이 왜 이렇게 피로하지? 하루 종일 조명을 보러 다녀서 그런가? 생각해 보니 백열전구 발명할 때도 잠을 잘 못 잤던 것 같아. 혹시 빛을 많이 보면 키도 잘 안 크는 거 아냐?빛공해로 ... ...
- 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활강할 수 있어. 지상 몇 km 높이에서 하늘을 날며 화성의 지평선을 바라보는 모습을 상상할 수 있겠어? 지구의 어떤 새도 못 누려본 경험일 거야.이곳의 활공 비행은 화성 최고의 인기 레저 스포츠야. 언제 화성에 올 기회가 있다면 꼭 한 번 해 보도록 해. 규정만 지키면 안전해. 아무래도 장소가 ...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이제는 이런 이야기를 그저 영화라고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뇌공학자들은 이미 영화의 상상력을 현실로 만들기 시작했다. 이들은 가상현실을 만들기 위해 우선 사람의 생각을 뇌에서부터 읽어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그리고 이 생각을 기록하고, 다시 꺼낼 수 있는 이른바 ‘드림레코더’를 만들고 ...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당시만 해도 박테리아 같은 하등생물에 동물이나 식물의 유전자를 넣는다는 건 상상할 수 없었다. 그러나 1953년 왓슨과 크릭의 DNA 이중나선 발견 이후 모든 생물의 유전자는 DNA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예외로 일부 바이러스는 RNA로 이뤄져 있다)이 분명해지면서 동물의 유전자가 대장균에서 발현될 ... ...
- 난, 이제 MIE로 진화한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차 안에서는 정상적인 크기로 보인다. 얼마 전 누나가 사온 책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진중권, 휴머니스트)’에서 눈여겨 본 그림이 있다. 한스 홀바인이라는 화가가 그린 ‘대사들(the ambassa-dors)’이다. 그림 아래 부분을 유심히 보면 뭔가 이상하다. 그림의 왼쪽 아래 모서리에서 ...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드넓은 억새밭이 장관인 하늘공원은 과거 이곳이 쓰레기매립장이었다는 게 상상이 가지 않았다. 그런데 억새밭을 벗어나 한강이 바라다 보이는 남향의 비탈에 이르자 풍경이 180도 바뀌었다. 땅은 물론 나무까지 온통 수채통에 걸린 국수면발처럼 말라비틀어진 식물로 덮여있었다. ‘식물계의 ... ...
- 6000년 전 배달국의 천문대장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하나 알려져 있는 게 없어 책에 구체적으로 기술돼 있지 않다. 저자는 “독자가 마음껏 상상의 나래를 펼쳐 나름대로 영상을 만들어가길 바란다”고 전했다.6년간 한국천문연구원 원장을 지낸 그는 기원전 3800년 배달국의 천문대장을 소설의 주인공으로 삼았다. 그는 당시의 천문대장을 지칭하는 ... ...
- 내 우주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순환과정을 알 수 있을까. 완벽한 진실은 결코 알 수 없겠지만 과학과 이성의 눈으로 상상이 가능하고, 이는 억지가 아닌 논리를 통해 검증되어 간다. ‘실락원’과 ‘실명의 노래’로 유명한 17세기 영국의 시인 존 밀턴은 실명을 하게 된 뒤에야 비로소 신의 뜻을 볼 수 있게 되었다고 하지 않았던가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