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포
사격
방출
방사
저격
출산
분만
d라이브러리
"
발사
"(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6년 미국의 로켓과학자 고다드는 액체산소와 가솔린을 혼합한 액체 추진제를 이용해 로켓
발사
에 성공했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과 이후 냉전시대의 대륙간 탄도탄, 그리고 우주시대의 여러 로켓의 등장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1956년 액체수소 추진제를 사용한 아틀라스 대륙간 탄도 미사일이 ... ...
1년은 항상 3백65일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달을 방문했을 때 달 표면에 반사경을 설치했다. 과학자들은 지구에서 레이저빔을
발사
한 후 레이저빔이 달의 반사경에 반사되고 되돌아오는 시간을 쟀다. 이를 통해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를 측정했다. 그 결과 현재 달은 지구로부터 나선형 궤도를 그리며 1년에 3cm씩 멀어지고 있음을 관찰할 수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물이 존재하는지 이잡듯이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2005년에는 화성 정찰 궤도선이
발사
돼 첩보위성 수준인 20-30cm 해상도로 정밀한 탐사를 펼치게 된다. 이 정보는 화성의 이해뿐 아니라 인류의 화성 착륙장소를 선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풍선에서 비행기까지 기동성 ... ...
2002년은 말머리성운의 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누구나 한번쯤 책이나 인터넷에서 봤을 만큼 유명하다. 또
발사
10주년이 되던 2000년에 허블우주망원경이 관측했으면 하는 대상을 정해달라는 인터넷 투표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손꼽은 대상이기도 하다. 우연히 성운의 모양이 말머리를 닮은 것이겠지만, 정말 말머리를 닮은 모습이 신기하기만 ... ...
단1회 탐사로 밝혀진 절반의 이력서 수성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위해 우산형 방어막을 장착했다. 2대의 TV용 카메라도 새로이 개발됐다.1973년 11월
발사
된 마리너 10호는 1974년 2월 무사히 금성의 도움을 받아 1974년 3월 처음으로 최종 목표지인 수성에 7백3km까지 근접해 사진을 보내왔다. 6개월 후에는 태양을 돌아 1974년 9월 4만8천km까지 접근했다. 탐사선은 ... ...
6T - 메가톤급 산업혁명의 견인차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군사적 측면에서 크게 발전했다. 1957년 옛소련에서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호를
발사
하고, 1969년 미국이 인간을 최초로 달에 보내는데 성공한 것 모두 냉전시대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방송과 통신이 발달하면서 ST는 상용화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가장 최근에 등장한 CT에는 ... ...
ST - 우주개척의 시대 서곡 울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우리별 뒤를 잇는 과학위성, 아리랑위성, 그리고 무궁화위성. 현재 우리나라가 보유한 인공위성들이다. 그런데 앞으로 이런 인공위성들이 우리 땅에서 우리 기술로 ... 현재는 본격적인 개
발사
업을 준비하는 기획사업을 벌이고 있다. 통신기상기술위성 2호의
발사
는 2014년에 계획돼 있다 ...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반응에 충분한 온도까지 가열한다. 즉 강한 에너지를 가진 중성입자 빔을 플라스마에
발사
해 충돌에너지로 가열하거나 플라스마에 고주파나 마이크로파를 흘려 가열한다. 또 토카막에서 핵융합 반응이 지속되려면 플라스마가 안정될 필요가 있다. K스타는 최근 각광받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 ...
오디세이, 첫 영상 선보여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때문이다.오디세이호는 미래의 화성 탐사를 위한 길도 닦을 계획이다. 2003년에
발사
될 착륙선이 착륙하기 적당한 장소를 물색하고, 언젠가 이뤄질 유인탐사에 대비해 인간에게 해가 될지 모르는 방사선 수치를 모니터한다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파편을 관측할 예정이다. 또 유럽우주기구(ESA)에서는 2003년 1월 탐사선 로제타(Rosetta)를
발사
해 워타넨혜성(46P/Wirtanen)과 여러 소행성에 접근시켜 혜성과 소행성을 관측할 계획이다. 로제타는 혜성 착륙선도 준비중이다.바야흐로 21세기는 혜성 관측의 세기가 될 것이다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