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
전부
온갖
모두
죄다
전반
전
d라이브러리
"
모든
"(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매일 머릿속으로 방정식 풀어요!”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따뜻한 마음을 가진 포용력 있는 사람이 되기를 당부했습니다.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은
모든
것을 수학과 연결해 생각하며, 다른 사람도 자기 생각을 이해할 거라고 짐작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렇지 않다는 걸 알아야 한다는 겁니다. 보험회사뿐 아니라 어떤 일을 하더라도 수학이 아닌 예술과 인문학 ... ...
[별헤는수학] NASA의 원반 탐정 행성이 탄생하는 원반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원’NASA 연구팀은 원시행성계 원반을 찾기 위해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관측할 수 있는
모든
하늘을 촬영하고 있습니다. 원시행성계 원반에서는 빛의 일종인 적외선이 나오기 때문에 그 빛을 포착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망원경에 달아 사진을 찍는 것이죠. 하지만 다른 천체에서도 적외선이 나와 ... ...
하늘로 떠난 수학 사냥꾼, 존 코웨이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계속 찾아가는 중이었습니다.콘웨이는 k가 5일 때 s가 37이라는 것을 밝힙니다. 즉
모든
자연수를 다섯제곱수 37개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겁니다. 이렇게 유명한 난제를 일부 해결해 박사학위를 받음과 동시에 수학계에 이름을 알립니다.또 콘웨이는 소수를 만들어내는 분수 14개를 정의했습니다. ... ...
논란 많은 러시아 백신 집중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1상과 2상에서 나타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모든
백신에는 부작용이 따르므로 백신 개발 성공 여부는 부작용이 얼마나 심각한가에 따라 결정된다.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JM)’ 7월 14일자에 발표된 모더나의 RNA 백신 ‘mRNA-1273’의 1상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나노포어 시퀀싱이라도 T2T 게놈 지도를 만드는 데는 더 오랜 시간이 걸렸을 것이다.
모든
염색체에 대해 T2T 게놈 지도를 완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이 가진 2만여 개 유전자에 대한 표준 게놈 지도를 이용해 질병을 일으키는 돌연변이만 집중적으로 연구해도 충분히 인류의 건강을 이롭게 할 ... ...
[나의 미국유학일기] 학생과 기업의 윈윈 취업 박람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작은 회사는 창립 멤버가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캘리포니아공대는 학생 수가 많지 않아
모든
부스를 한 번씩 방문할 수 있다. 참가 회사들은 체육관에 부스를 설치한 뒤 학생들과 대화하거나 면접을 본다. 학생들은 관심 있는 회사 부스에 이력서를 내고 본인의 강점과 경험을 알리는 동시에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멀티백에게 엔트로피를 역전시킬 방법이 있는지 묻습니다. 멀티백은 공간을 초월해
모든
인류와 이어질 수 있는 존재가 됐지만, 매번 “자료 부족으로 대답이 불가능함”이라는 답변만 내놓습니다. 상상만 하던 일이 실제로 일어나고 맙니다. 우주 전체에 퍼져 살던 인류는 별의 에너지마저 ... ...
바이러스 사냥으로 미래 유행할 전염병을 예측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75%가 동물에게서 전염된 인수공통감염병이었거든요. 이에 과학자들은 동물이 지닌
모든
바이러스를 검출해 정보를 모아두려고 하고 있어요. 2018년 만들어진 글로벌바이롬프로젝트(GVP)는 지금껏 알려지지 않은 동물 바이러스를 10년 안에 모두 조사하는 게 목표예요. GVP는 조사해야 할 바이러스가 16 ... ...
[인터뷰] 세계 최초 수학대중화 석좌교수 김민형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오늘날 컴퓨터가 계산할 수 있게 만들었다는 겁니다.김 교수님은 나아가서 “세상의
모든
것은 우리가 경험적으로 느끼는 것보다 정보로 나타낸 게 더 근본적이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우리의 몸도 정보를 토대로 세상을 인식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물체를 본다는 ... ...
[에디터노트] Why Explore Space?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수립하지 못했다. 우주 탐사를 포함한 과학기술 발전은 기초기술부터 첨단기술까지
모든
기술이 총동원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실패의 경험조차 자산이 된다. 예산과 성과를 둘러싼 핑계, ‘우주쇼’라는 정치적 수사에 휘둘리면 미래도 없다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