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9화. 어느 수학자의 덕질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보여준 EPL이 마무리됐는데요, 평소에 축구나 다른 스포츠를 좋아한 수학동아 독자라면 모든 스포츠엔 언제나 결과를 예측하는 게 큰 재미라는 걸 아실 거예요. ‘우승 예측’, ‘승패 예측’부터 월드컵 시즌만 되면 돌아오는 경우의 수까지! 맨유의 최종 순위도 38라운드 마지막 경기까지 ... ...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여자친구 등 15개 걸그룹의 안무 일치율을 계산했다. 각 그룹의 안무 연습 영상 중 모든 멤버가 같은 안무를 추고 서로 동선이 겹치지 않는 부분만 편집해, 30초 이내 영상을 그룹별로 3~4개씩 만들었다.이를 오픈포즈에 업로드해 프레임 단위로 관절의 위치와 자세를 찾은 뒤 멤버 간 안무 일치율을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머릿속으로 그리면서 차근차근 발사 프로세스를 밟았다. 추진제를 주입하기 위한 모든 점검을 마치고, 액체산소를 주입하기 위해 탱크의 냉각 작업도 끝냈다. 그때 갑자기 ‘쏴아~’ 소리가 들렸다. 발사 2시간 57분 전, 발사대 소방 설비가 갑자기 소화약품을 분출하기 시작한 것이다. 발사가 ... ...
- [이달의 책] Science Fact가 된 Science Fiction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등이 모두 2010년대에 이르러 실현됐다. 빈트 교수 역시 “지금 세상은 과학기술이 삶의 모든 영역을 굉장히 빨리 변화시킨다”며 “우리는 어떻게든 그런 변화들과 타협하며 사는 중”이라고 이야기했다. 과학기술의 홍수 속에서 SF가 그린 삶의 변화가 더 빠르게 현실이 되고있는 셈이다. SF를 좀 더 ... ...
- [기획] 장난감 연구실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이미지를 보고도 산호를 식별할 수 있을 거예요. 연구팀은 “인공지능을 학습시켜 모든 이미지에서 산호를 분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산호 파괴의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찾아내고 피해를 줄일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용어정리mbb/g: 게임당 딴 돈이 베팅한 ... ...
- #TMI 김 기자의 슬기로운 홈트 생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내에서 전류가 흐른 부위(점선)인 왼팔의 저항만 측정되는 것이죠. 제 결과표를 보니 모든 부위에서 체지방률이 평균보다 높았어요(눈물). 홈트 TMI ② 내 몸의 부위는 어떻게 찾는 거지?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에서 사람을 인지하고, 신체의 각 부분을 알아내는 기술에는 딥러닝의 일종인 ...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알고리즘이 필요한지 계산했다. 연구에 참여한 훌리안 카트라이트 CSIC 연구원은 “모든 꿀벌은 기본적으로 (벌집을 만들 때) 알고리즘을 따른다”며 “각 꿀벌이 동일한 규칙대로 집을 지을 때 전체 패턴이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육각형 셀 1개를 두고 꿀벌이 다음 2가지 ... ...
- [과학동아 X 긱블] 긱블의 네 번째 빅 프로젝트 로켓 발사 탱크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두께가 다른 두 종류의 탄소강 각파이프를 준비했습니다. 하단 중앙부 골격은 탱크의 모든 하중을 지탱하기 때문에 약간 무겁지만 강도가 우수한 2.3T(티·1T는 두께가 1mm인 자재) 탄소강 각파이프를 사용할 겁니다. 그 외 골격은 하단 중앙부보다 하중을 적게 받기 때문에 비교적 얇고 가벼운 1.5T ... ...
- [나의 독일유학일기] 국경 넘나드는 유럽의 인턴십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쓰는 오스트리아나 스위스 등 독일 이외의 나라에서 인턴십을 할 수도 있다. 물론 거의 모든 유럽 국가가 모국어와 함께 영어를 쓰기 때문에 독일어권이 아니더라도 유럽 대륙에 있는 국가에서는 어렵지 않게 인턴십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 분야에서 인턴을 희망한다면, 이 분야에서 유명한 ... ...
- 섭섭박사에게 도전장이 날아왔다! 코딩로봇 ‘지니봇’으로 한 판 승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로봇에 들어 있는 가속도 센서가 기울기를 인식해 이동할 방향을 파악하는 거지요. 모든 코딩을 마친 섭섭박사님과 이은승 대표가 지니봇을 나란히 출발시켰어요. 잠시 후였어요.“그 길은 최단 거리가 아닐 텐데요!”섭섭박사님은 상대의 지니봇이 멀리 돌아가는 것을 보면서 승리를 확신했어요.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