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d라이브러리
"
능력
"(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많이 가지고 있는 SNP를 가지고 있을 경우, 운동을 잘 할 확률이 높은 것이지 반드시 운동
능력
이 높다고 말할 수 없는 것처럼.불확실성은 SNP의 본질적인 한계다. 실제로 SNP는 DNA 가운데 극히 일부분이고 전부 밝혀지지도 않았다. 게다가 SNP를 분석하는 방식도 회사마다 차이가 난다. 하나의 기능에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부딪혔을 때 머리를 보호해 줄 수 있거든요. 하지만 금속에 비하면 열을 견디는
능력
이 적고 덜 단단하기 때문에 쉽게 긁힌다는 단점이 있어요. 이런 단점을 극복하고 금속만큼 단단해진 플라스틱이 있어요. 인하대학교 심봉섭 교수가 참여한 미국 연구팀이 금속만큼 단단한 플라스틱을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비슷한 학생을 가려내기 위한 만점방지용 문항은 더 어려워졌다. 2015학년도 대학수학
능력
시험에서는 주로 이과생이 선택하는 수학 B의 1등급 커트라인이 만점이었다. 1개만 틀려도 2등급으로 밀려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박경미 홍익대 수학교육과 교수는 “쉬운 문항을 빨리 풀고 남은 시간을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시력을 평가하는 기준은 ‘해상도’예요. 아주 작은 것도 놓치지 않고 선명하게 보는
능력
이지요. 사람보다 시력이 좋은 동물로는 하늘을 날면서 아주 멀리 있는 사냥감을 낚아채는 주행성 맹금류뿐이에요. 주행성 맹금류란, 주로 낮에 활동하면서 동물을 잡아먹는 새들을 말해요. 그 중에서도 ... ...
[수학뉴스] 개미 떼를 이끄는 리더 개미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옮기는 능률이 점점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개미가 20마리보다 많아지면 오히려 협동
능력
이 떨어졌습니다.재미있게도 리더가 바뀌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과자 바깥에서 앞길을 미리 보고 온 개미가 무리에 끼어들 때였지요. 개미들은 새 리더가 이끄는 대로 순순히 힘을 합쳤습니다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PC나 모바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전력, 저성능 기기다. 연산
능력
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복잡한 암호화 알고리듬인 RSA알고리듬이나 AES알고리듬을 사용하기엔 무리가 있다(과학동아 6월호 참고). 사물인터넷 환경, 저전력 암호 알고리듬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사회에 나가면 100만 줄짜리 코딩을 짤 때가 올 거란 말이죠. 내 생각을 남에게 설명하는
능력
이 중요해요. 지금 미리 연습을 해 놓으면 나중에 세계적인 기업에 가서도 도움이 되겠죠.” 식물원에서 5분간 명상하기 숙제‘캘리포니아 대가뭄의 흔적을 교내에서 찾아라.’ 부수희 씨는 UC버클리에 ...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관찰해 과학저널 ‘셀’에 발표했어요. 기: (꿀꺽) 어떻게 됐는데요?그: 혈액 박출
능력
이 향상되고 손상된 골격근이 회복됐어요. 우리가 흔히 노화라고 말하는 증상들을 극복한 거죠. 그러니까 당신의 피에는 나를 젊게 해줄 물질이….기: (다급하게) 잠깐! 성급하게 판단하지 말아요. GDF11이 노화를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인간의 줄기세포인 배아줄기세포나 유도만능줄기세포에는 이런
능력
이 없다. 인간 줄기세포는 유도된 특정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다분화능(pluripotency)만을 가지고 있다. 그나마 인간 세포에서 전형성능을 가졌다고 알려진 것은 현재까지 수정란이 유일하다.미국의 ... ...
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하는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우리 마음에서 일어나는 환상인지 실제로 일어난 사건인지를 구별하는
능력
이다. 이
능력
이 아주 뛰어난 사람이라면 공포영화를 봐도 ‘저건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 아냐~’라며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 그들에게 공포영화는 시시한 영화일 뿐이다. 반면 환상에 공감을 잘하는 사람은 공포영화 속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