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d라이브러리
"
능력
"(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漢(한)字(자) 과학 (科學)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비해 사람은 약 500만 개의 후각 세포가 약5$C{m}^{2}$로 분포해 있지요. 개는 뛰어난 후각
능력
을 활용해 폭발물이나 마약 같은 것을 찾도록 훈련받기도 한답니다.‘맡을 후(嗅)’는 원래 ‘냄새 취(臭)’와 ‘코 비(鼻)’를 더해 만들어진 한자예요. 즉, 코로 냄새를 맡는다는 뜻이지요. 그러다가 나중에 ... ...
알록달록,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자피부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전자피부는 색이 변하는 것은 물론, 쭉쭉 늘어나는 유연함과 압력에 따라 색이 변하는
능력
까지 갖췄답니다.이 전자피부는 두 가지 주요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하나는 꾹 누르면 전압이 바뀌는 압력 감지 장치이고, 다른 하나는 압력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을 낼 수 있는 전기변색 장치예요. ... ...
생명력이 꿈틀꿈틀~! 생물의 구조와 기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9호
역할과 기능이 있죠. 생물의 여러 구조를 자세히 알아보기로 해요.1. 식물이 동물보다
능력
자라고?식물과 동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느냐, 없느냐를 기준으로 삼는 친구들이 많을 거예요. 하지만 이렇게 동물, 식물을 구분하는 것은 약간 틀린 방법이에요. 예를 ... ...
새끼 남극물개가 엄마를 찾는 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높낮이와 소리의 세기 등 다양한 소리의 요소들을 고려해 어미를 찾는다는 거예요.그
능력
으로 내 지구정복을 좀 도와 주지 않을래?우린 크릴 새우를 좋아해요. 남극물개 한 마리가 1년 동안 약 1톤의 크릴 새우를 먹을 정도죠. 그리고 많은 남극물개가 살고 있는 사우스조지아 섬을 포함해 남극에는 ... ...
생체모방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훨씬 더 사람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모습의 로봇을 만나게 될 거예요.# 로봇의 따라하기
능력
이 정말 대단하군요! 이번 닮은꼴 대회에서는 어떤 로봇이 우승을 했을까요? 미래에는 또 어떤 생체모방로봇이 나올까요? 친구들의 상상력을 발휘해 보세요 ... ...
지렁이 소화
능력
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작용을 억제해요. 그래서 우리는 식물을 완전히 소화시킬 수 있는 거예요.하지만 이런
능력
을 지구 정복에 사용할 생각은 없어요. 저는 텃밭 가꾸는 일이 더 좋답니다. 흥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Q 어떻게 똥이 깨끗해지나요?미생물을 이용했습니다. 온 산을 헤집고 다니며 분해
능력
이 좋은 ‘바실러스’라는 균 10종을 찾아냈지요. 이 미생물을 연구실에서 배양해 똥과 오물로 가득찬 정화조에 넣으면 미생물이 똥과 오물을 분해해 물이 다시 깨끗해져요. 특히 저는 미생물을 딱딱하게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않는 지배자를 찾아라!플랑크톤은 물에 떠서 사는 생물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에요. 운동
능력
이 아예 없거나 매우 약해 물살을 거슬러서는 움직일 수 없지요. 마이크로미터(1μm는 10-6m) 단위부터 수m까지 종류도 다양해요. 예를 들어 식물 플랑크톤이자 조류의 일종인 클로렐라는 지름이 10μm보다 ... ...
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큐비트수가 100개인 양자컴퓨터는 비트 수가 2100개. 즉, 약 1030비트 디지털 컴퓨터의
능력
을 발휘할 수 있다.[큐비트의 확인 : 한국과학기술원(KIST)양자연구센터에 있는 큐비트 상태 확인 장치다. 마지막 양자상태를 정확히 읽어내는 것은 양자컴퓨터가 갖춰야 할 조건 중 하나다.]양자컴퓨터를 이끌 ... ...
파킨슨병 치료하려면 뇌에 ‘매운 맛’ 보여줘야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Q 어떻게 이런 독특한 발상을 하게 됐나파킨슨병은 도파민신경세포가 사라져 운동
능력
이 점차 떨어지는 질병이다. 어느 날 통증수용체(TRPV1)가 도파민신경세포를 보호한다는 연구 결과를 알게 됐다. 통증수용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고추의 매운 맛을 내는 캡사이신으로 활성화되기 때문에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