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뉴스
"
개
"(으)로 총 21,37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는만큼 보인다] 원심력 그리고 자신과의 싸움, 쇼트트랙
동아사이언스
l
2018.02.20
그만큼 조건은 평준화됐다. 그럼에도 여전히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는 것은 선수들
개개
인이 흘린 땀방울의 값일 것이다. * 자료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멈출 줄 모르는 운전자
팝뉴스
l
2018.02.19
제공 멈출 줄 모르는 운전자들 한 승용차가 볼라드를 들이 받았다. 두
개
의 볼라드가 있었지만 멈추지 않았다. 결국 범퍼 양쪽이 깊이 패이고 말있다. 한 지게차의 운전자도 멈춰야 할 순간을 놓쳤다. 쇠기둥을 들이받은 것인데 신기한 것은 지게차가 압승이었다는 점. 쇠 기둥이 뚫리고 말았다. ... ...
읽는 책에서 듣는 책으로, 오디오북 시대
2018.02.19
씨의 목소리를 샘플링한 TTS(Text to speech, 텍스트를 목소리로 바꿔주는 기술) 엔진을
개
발했다. 이미 TTS 기술은 우리에게 익숙하다. 기계가 사람의 목소리로 말하는 것은 대부분 이 TTS 기술에 기반한다. 그리고 TTS는 이미 꽤 오래된, 그러니까 완성 단계에 접어든 기술이기도 하다. 기계가 읽는 느낌은 ... ...
[팔라우 힐링레터] 바다 속 포켓몬? 피카추를 닮은 갯민숭 달팽이
2018.02.18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포켓 몬스터 시리즈에 등장한 귀여운 케릭터 피카추. 남녀노소 불문하고 누구나 좋아한다. 수많은 캐릭터 상품이 쏟아져 나왔으며 최근에는 ‘ ... 잡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이 피카추는 몸에서 10만 볼트의 강력한 전기와 번
개
가 방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 ...
[아는만큼 보인다] 겨울올림픽 가장 비싼 몸 ‘봅슬레이’의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02.18
- 평창동계올림픽 공식사이트 제공 썰매 맨 앞에 타는 파일럿은 줄로 만들어진 두
개
의 조종간을 잡아당기며 커브 구간을 돌 때 미세하게 썰매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조종에 실패하면 썰매가 뒤집어지는 일도 있기 때문에 극도의 집중력이 필요하다. 평창 겨울올림픽 썰매종목 시합이 열리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미 송곳니에 맺힌 독 방울
동아사이언스
l
2018.02.17
토론하는 자리다. 올 한해 관련 세미나를 비롯해 고든 리서치 컨퍼런스 프로그램 300여
개
가 열릴 예정이다. 프로그램 일정 확인과 참여 신청은 공식 홈페이지(www.grc.org)에서 할 수 있다 ... ...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02.16
구울 때, 속은 익지 않았는데 겉이 타버리는 것과 유사하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
개
의학’ 2017년 3월호에는 급속 해동 기술에 관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존 비쇼프 미국 미네소타대 교수팀은 사람의 피부, 돼지 혈관 및 심장판막을 산화철 나노입자가 든 특수용액에 적셨다가 얼렸다. 녹일 ... ...
[아는만큼 보인다] 썰매 종목 첫 금메달 안긴 스켈레톤 뒤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02.16
성장한 데에는 유전자 특성을 분석한 과학적 훈련 기법이 한몫했다. 민석기 한국스포츠
개
발원 선임연구위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2015년부터 스켈레톤과 봅슬레이 대표팀 선수의 유전자 특성을 분석해 선수별 맞춤형 체력 훈련 프로그램을 짰다. 특히 근육의 특성을 결정하는 ACTN3라는 유전자를 ... ...
트럼프, 올해도 기후변화 연구 대거 취소 권고…차세대 대형 우주망원경 ‘WFIRST’도 ‘킬’
동아사이언스
l
2018.02.15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WFIRST 위성 - NASA 제공 트럼프 대통령은 NASA의 지구과학 임무 5
개
에 대해서도 백지화를 요구했다. 여기에는 지구의 기후변화를 정밀 관측하는 ‘디스코(DSCO)’ 위성 임무와 2022년 발사될 예정인 대기해양환경 관측위성 ‘페이스(PACE)’도 포함됐다. 페이스 프로젝트는 ... ...
[아는만큼 보인다]동계올림픽의 꽃 '피겨 스케이팅'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02.15
근처에서 고체 상태의 물질 바깥쪽이 녹는 현상을 ‘표면 녹음’이라고 한다. 물 분자 두
개
정도의 두께밖에 안 되는 물층이 액체처럼 움직이면서 얼음 위를 미끄럽게 만든다. GIB 제공 이밖에도 선수가 스케이트장에서 움직이면 스케이트 칼날이 누르는 힘에 의한 마찰열이 발생해 얼음 ... ...
이전
1525
1526
1527
1528
1529
1530
1531
1532
15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