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뉴스
"
관여
"(으)로 총 1,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니코틴 중독 만드는 건 ‘마이크로RNA’
2015.08.12
몸속으로 받아들이는 단백질인 ‘니코틴 수용체’가 가장 많으며 금단현상 등에
관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하베뉼라에서는 니코틴 수용체 자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돼 왔지만 연구팀은 시각을 바꿔 마이크로RNA에 주목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이 부위에서 유전자 발현 정도를 ... ...
주인 얼굴 보고 꼬리치는 개, 반가워서? 배고파서?
2015.08.04
4일자에 밝혔다. 지금까지 인간이나 영장류만 타인이나 다른 종의 얼굴을 인식하는 데
관여
하는 뇌 부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 연구를 통해 다른 동물에게도 얼굴을 인식하는 신경세포가 있다고 밝혀진 적은 있지만 뇌의 한 영역 전체가 활성화된다고 밝혀진 동물은 개가 처음이다.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안에는 면역세포와 줄기세포가 들어있다고 한다. 권 교수는 제3 순환계가 선천성 면역에
관여
할 것으로 추정했다. ‘제3 순환계의 미래’라는 주제의 두 번째 짧은 강연까지 듣고 나서 필자는 봉한관(프리모관) 연구가 꽤 진행됐음에도 여전히 주류의학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 좀 ... ...
빛의 양 따라 알의 밝기 조절하는 노린재
2015.08.03
공동으로 노린재는 외부 환경의 영향에 따라 알의 명암을 조절하고, 여기에
관여
하는 성분이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성분이라는 사실을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7월 23일자에 발표했다. 현재까지 새나 곤충이 미묘하게 다른 색의 알을 낳는 사례가 밝혀진 적은 있지만, 이는 모체의 ... ...
후성유전학이 답한다
과학동아
l
2015.07.29
아세틸기가 라이신의 양전하를 중성화해 음전하를 띤 DNA와 히스톤을 분리시키고, 전사에
관여
하는 다른 요소들이 DNA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고 생각했다. 같은 해에 효모에서 전사를 억제하는 Rpd3p 단백질이 포유류의 탈아세틸효소와 비슷하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DNA를 감는 실패 역할을 하는 ... ...
노인도 ‘몸짱’ 될 수 있는 방법 찾아냈다
2015.07.29
물질이다. 세포의 분화와 성장, 사멸 활동을 관장한다. 연구진은 근육 노화에
관여
하는 마이크로RNA가 있을 것으로 보고 동물 실험을 진행했다. 젊은 생쥐와 늙은 생쥐의 근육에서 근육줄기세포를 분리해 마이크로RNA를 비교했다. 그 결과 늙은 생쥐의 근육줄기세포에서는 ‘miR-431’이라는 ... ...
새 대장암 치료제 나온다
2015.07.22
단백질이 세포 내에 축적되고 이것이 핵 안으로 들어가 세포 증식에
관여
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무절제한 세포 증식이 일어나면서 결국 암세포로 바뀌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시키는 약물을 만들어 새로운 개념의 암치료제를 개발하는 단초도 마련했다. 연구진은 ... ...
효소 하나 때문에 수명 18% 늘거나 39% 줄거나
2015.07.21
상호작용한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알아냈다. 또 HEL-1이 신체 일부의 수명에만
관여
한다는 새로운 사실도 밝혀졌다. 이 효소는 신경과 장 조직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근육과 피부 조직에서는 작동하지 않았다. 남 단장은 “기존 노화 관련 연구에서 RNA 구조와 기능 변화와의 연관성은 잘 알려지지 ... ...
꺅! 비명 소리만 들어도 무서운 이유
2015.07.17
중추가 강하게 자극됐다. 포펠 교수는 “편도체는 즉각적으로 생성되는 감정이나 정서에
관여
하는 부위”라면서 “편도체가 날카로운 소리에 더 민감한 만큼 비명을 들으면 즉시 공포심을 느끼게 된다”고 말했다. 이석필 상명대 미디어소프트웨어학과 교수는 “비명처럼 고음에 소리의 세기가 ... ...
도라지와 관중 성분, 혈전증 위험 낮춘다
2015.07.14
한의기술응용센터 책임연구원 팀은 혈전 형성을 92% 억제하는 신소재(E20)와 혈액응고에
관여
하는 혈소판 활성화를 54.5% 낮추는 신소재(W1970-C1)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현재 혈전증 치료를 위해서는 외과 치료와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게 일반적이다. 외과적 시술은 재발률이 높아 지속적인 약물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