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뉴스
"
관여
"(으)로 총 1,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은 햇빛 없이도 자랄 수 있다, O일까 X일까
2015.12.28
밝혀졌다. 청색광이 부족해지자 돌연변이 애기장대 속 크립토크롬이 직접 DNA 전사에
관여
해 성장을 촉진시켰다는 것이다. 또 이번 연구는 옥신의 양에 변화가 없어도 식물 성장이 촉진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냈다는 점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천연 성분의 옥신은 식물의 성장을 ... ...
호랑이 줄무늬, 얼룩말 무늬…동물 무늬 수학으로 나타낼 수 있나
2015.12.28
신 메가손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팀은 ‘튜링 패턴’이라고 불리는 줄무늬 형성에
관여
하는 변수를 밝혀 여러 가설을 아우르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다고 ‘셀’의 자매지 ‘셀 시스템스(Cell Systems)’ 23일 자에 발표했다. 생명체가 만드는 패턴을 수학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노력은 1952년 ... ...
연말 폭음 막는 힘 ‘간’에 있다
2015.12.27
iStockphoto 제공 연말,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과 ‘한 잔’ 하자고 마련한 술자리는 2차, 3차로 이어진다. 정신을 차려보면 이미 첫차가 다니는 시간. 이런 폭음을 막는 힘이 ‘간’에 있다는 사실이 새로 밝혀졌다. 그동안 알코올을 포함한 유해물질을 ‘해독’하는 장기로 알려진 간의 또 다른 능 ... ...
[신나는 공부]스스로! 절실하게! 드라마틱하게!
동아일보
l
2015.12.22
‘셀레틱스’에서 활동한 김지훈 군(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합격)은 ‘면역에
관여
하는 단백질의 역할’을 두고 동아리원들을 상대로 발표를 한 경험이 있다. 김 군은 “발표를 하려면 해당 내용을 단순히 암기하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된다. 개념이나 사례를 완벽하게 이해하려고 노력했다”면서 ... ...
전남 드론 - 강원 헬스케어… 14개 시도에 ‘규제 프리존’
동아일보
l
2015.12.17
풀 방침이다. 한국은행의 고유 영역으로 여겨왔던 물가 관리에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관여
한다. 0%대 저물가가 이어지면서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기가 급속도로 악화되자 물가가 반영된 ‘경상성장률’을 관리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적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유도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고, ... ...
수컷이 바람 피우는 이유가 기억력이 나빠서?
2015.12.13
수컷 쥐와 바람기가 많은 수컷 쥐의 유전자를 비교한 결과, 뇌의 단기 기억력 향상에
관여
하는 유전자에 큰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유전자가 다른 만큼 뇌의 발달도 다르게 나타났다. 외도를 일삼는 수컷 쥐는 단기 기억력이 떨어져 제 집을 찾지 못했고, 결국 다른 암컷의 보금자리에 ... ...
행복한 사람은 OO도 크다
2015.11.23
가장 큰 사람과 가장 작은 사람 간 차이는 최대 15% 정도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행복에
관여
하는 뇌 부위가 설전부라는 점에서 이 크기를 이용해 사람의 행복한 감정을 수치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사토 교수는 “설전부의 크기 때문에 행복감을 더 많이 느끼는지, 아니면 행복한 감정 ... ...
작은 분자 하나로 알츠하이머 무력화
2015.11.23
무력화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분자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뭉치는 과정에
관여
해 뇌 속에 쌓이지 못하도록 막을 뿐 아니라 이미 쌓인 단백질의 독성도 무력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계산을 통해 DMPD가 뇌장벽을 투과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투여한 약물이 뇌 속에서 효과를 ... ...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서울대병원 원장 일문일답
동아일보
l
2015.11.22
한다. 아들 김현철 씨는 계셨다.” ―빈소 마련 등 향후 (장례) 일정은. “병원에서
관여
할 문제가 아니다. 유족들과 관계 당국이 정할 문제다.” ―서거 직전 남긴 말씀은. “확인 해드릴 수 없다.” ―돌아가시기 전에 의식이 언제까지 있었나. “입원하실 때까지 어느 정도 의식은 있었다. 갑자기 ... ...
침팬지가 인간의 학습능력을 뛰어넘을 수 없는 이유
2015.11.19
미국 조지워싱턴대(GWU) 박사후연구원이 이끈 연구팀은 인간이 침팬지보다 뇌 발달에
관여
하는 유전자의 힘이 약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침팬지보다 유연하게 학습하고 환경에 적응할 수 있게 됐다고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 16일 자에 발표했다.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가 다른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