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➋] 국가를 지키는 수호자들을 만나다! 국방과학기술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의자에 앉아 컨트롤러를 조종하자, 화면에 K2 전차, 무인수상정 해검, 전투기 T-50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문구가 나타났어요. 무인수상정 해검을 선택하니 이내 화면은 바다로 변했지요. 실제 무인수상정 해검에는 사람이 직접 탑승해 운전하지 않지만, 매니저 리는 해검을 조종하는 진짜 조종사가 된 ... ...
- 다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시작되었습니다…. “이번엔 감자 어때요?”라는 말 한마디에 시작된 감자 실험!빨대 하나로 생감자를 뚫는 박진감 넘치는 차력 실험에 이어, 곱게 간 감자를 이용해 변색을 확인하고 감자전을 부쳐 먹는 요리 실험까지! 강판에 감자를 갈기가 쉽지는 않았지만, 다행히 요리가 잘되어 어과동 ...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그림의 모양은 달라도 우리는 모두 원기둥 가족!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약속했어요. 나만의 원기둥 만들기 아래의 원기둥 [1]번 전개도에 자유롭게 선 하나를 그려 보세요. 이 전개도를 접어서 원기둥으로 만들면 선이 원기둥에서 어떻게 나타날지 [2]번 원기둥 그림에 생각해 그려보세요 ... ...
- 슈퍼 컴퓨터 성능이 궁금해? 원주율 계산에 도전해 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발견하면서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수학에서 아크탄젠트 함수는 삼각함수의 하나인 탄젠트함수의 역함수(tan-1(x))를 의미합니다. 곧 삼각함수와 원주율 사이의 관계식을 찾은 것으로 볼 수 있죠. 1671년 영국의 수학자 제임스 그레고리는 마다바의 발견 사실을 모른 채 같은 급수를 ... ...
- [에디터노트] 카테고리 없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과연 UFO는 과학의 한계를 보여주는 현상일까요, 아니면 또 하나의 미신일까요. 다양한 비판적 독해 가능성을 여러분의 몫으로 남겨 둡니다 ... ...
- 소형모듈원전(SMR), 기후위기 구원투수될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컨트롤룸에서 관리하는 시스템도 지난해 설계인증에 포함돼 있다. 결국 화력 발전소 하나를 대체하기 위해 12기의 SMR을 만들어야 하다 보니 건설비가 더 많이 든다. 김 교수는 “이 문제는 SMR을 대량생산해 단가를 낮추면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뉴스케일파워는 대량생산을 위한 파트너로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쓰레기에 낚인 괭이갈매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과거에는 낚싯줄이 끊어지며 물속으로 가라앉은 납추도 생태계에 큰 피해 요인 중 하나였다. 납추를 먹은 새들이 납중독으로 구조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피해가 알려져 2013년 9월부터 납추의 제조, 수입, 판매 및 사용이 모두 금지됐다.낚싯줄에 걸리거나, 낚싯바늘을 삼키고, 납추에 중독된 ... ...
- [과학동아 x 긱블] 우리 이번엔 좀 진지하다, 영화 ‘업’ 하우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업’의 주제곡도 재생되도록 할 겁니다. 단 목재함은 각각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 중 하나의 악기만 흘러나오기 때문에 세 명이 동시에 올라가야 하모니를 이루며 음악이 완성될 수 있습니다. 관객이 모두 함께해야만 완성되는 작품을 만들고 싶다는 긱블의 뜻이 들어갔다고 하네요(감동의 ... ...
- [JOB 터뷰] 꿈을 조립한다! 국내 최초 레고 공인 작가 김성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만들었어요. 대학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전공을 한 게 도움이 됐지요. 제가 만든 것 중 하나가 부품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예요. 프로그래밍 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덕분에 이젠 컴퓨터로 검색만 하면 부품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쉽게 찾을 수 있답니다. Q 작품을 만들 때 가장 신경 ... ...
- [특집] 고수의 조언 3. 마음 담은 편지를 써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Open AI’에서 지난해 5월 발표한 인공지능이에요. 언어를 예측하는 인공지능으로 하나의 단어를 주면 이어질 단어를 알아서 예측해 문장을 만들지요. 이는 3000억 개의 단어, 문장, 형태소● 등의 방대한 양의 언어 자료를 학습한 덕분이에요. 이를 바탕으로 일반 상식이나 전문적인 지식에 대한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