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2] 포물선을 아름답게! 축구공 골인 게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발사되지 않도록 했어요. 축구공의 x축 빠르기(getVelocityX)나 y축 빠르기(getVelocityY) 중 하나가 0보다 크면 작동을 중지하라(return)는 명령이지요. 축구공이 움직이고 있다면 x축이나 y축의 빠르기가 0보다 크다는 성질을 이용했답니다. 미션에 있는 코드➍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False의 값을 true로 바꿔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0화. 해롱 선장이 페가수스 선장을 싫어하는 진짜 이유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그러던 어느 날 문득 해롱 선장은 ‘씨름’을 떠올렸어. 너도 알지? 도깨비 종족이 씨름 하나는 원체 잘 하는 거. 자기가 학교의 유일한 도깨비니까 우승할 수. 있겠다고 생각한 거야. 마침 학교 축제가 얼마 뒤였어. 해롱 선장은 씨름 대회를 열자고 강력하게 주장했지. 해롱 선장은 페가수스 선장을 ... ...
- [매스미디어]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무기)를 이용해 1000살 넘게 지하 세계의 최강자로 군림해왔다. 열 개의 힘, 단 하나의 운명 악당 만다린은 아이언맨의 오랜 숙적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영화 ‘아이언맨 1(2008)’에서는 세계적 무기 회사를 이끌던 토니 스타크를 납치해 무기를 제작하라고 협박했고, ‘아이언맨 2(2010)’에서는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인터뷰 - 김선 미네르바대학교 합격생, 수학동아로 세상에 다가서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두 가지 경우가 있다”며 “하나는 관심이 생겨서 열의를 갖고 공부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학교 내신을 대비하듯 필요에 의해 공부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고등학생 시절 김 작가는 “사회학 같은 과목은 관심이 많아 열의를 갖고 공부했지만, 아쉽게도 수학 과목은 그러지 못했다”고 ... ...
- 물질의 특성 살피는 새로운 도구, 위상 수학수학동아 l2021년 10호
- 호의 얼굴이라 할 수 있는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습니다. 위상 수학하면 ‘손잡이가 하나 달린 컵과 도넛은 구멍이 한 개인 위상적으로 같은 도형이다’라는 표현을 떠올릴 수 있는데요, 이처럼 컵과 도넛처럼 도형의 모양을 바꿔도 변하지 않는 성질을 찾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이때 구멍의 ... ...
- 기술검증│인류 지식의 최전선을 시험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장기간 우주 비행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론일 뿐, 추진체 하나의 크기가 길이 약 200m, 직경 12m로 거대해야 하며, 키보드를 누르는 정도의 힘인 1N의 추력을 생성하는 데 165MW(메가와트)라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해 현실적으로 개발은 어렵다. 김 교수는 “군사 분야의 연구가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박 교수는 “글꼴의 삐침 하나에 따라서도 사람의 뇌는 다르게 반응하기 때문에 삐침 하나로 상품의 성패가 결정될 수도 있다”며 “글꼴의 조형미에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관해서는 밝혀야 할 것이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 ... ...
- 반려동물에 채식 권하면 안 되는 이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학대를 막기 위해 반려동물에게 절대 기존의 사료를 줄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대안이 하나 있다. 곤충 사료다. 곤충 사료는 일반 사료보다 4배가량 비싸지만, 단백질 함량이 높고 필수아미노산을 모두 제공할 수 있어 영양학적으로 유리하다. 특히 귀뚜라미는 최대 65%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고, ... ...
-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 숨겨진 공로자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본부장은 “우주발사체 기술은 국가의 우주개발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위성을 하나 쏘더라도 남의 손에 의지해서 쏘는 것과 직접 실어나를 능력을 가진 것은 천지 차이”라고 말했다.국내 우주개발기본계획은 5년 단위로 업데이트된다. 조만간 새 정부 시작에 맞춰 개정 논의를 시작할 ... ...
- [이공계잡터뷰] 과학의 즐거움을 전하는 크리에이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정리해 과학적으로 오류가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후에는 자신만의 생각을 더해 하나의 이야기를 부여한다. 크리에이터로서 자신만의 색깔을 보여줄 수 있는 과정이다.이후에는 대본을 작성하고 검토한다. 과학 크리에이터가 콘텐츠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과학적 사실과 객관적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