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포그래픽] Mars 2020 퍼시비어런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라는 뜻을 가진 로버 ‘퍼시비어런스’는 화성에서 생명체와 물의 흔적을 찾고, 지구에 보낼 시료를 채취해 보관한다. ●퍼시비어런스의 착륙 전략로버인 퍼시비어런스는 에어로쉘에 실려 있다. 낙하산을 펼쳐 속도를 줄이고, 레이더를 작동해 에어로쉘의 낙하 속도와 고도를 측정한다. 고도 1. ... ...
- EU┃ Exo Mars 2년 뒤 떠나는 엑소마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두 번째 발사다. 화성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탐사하고, 화성 표면에 있는 암석 시료를 지구로 가져오는 임무를 맡았다. 여기에 투입될 탐사 로버인 로잘린드 프랭클린은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밝히는데 중요한 공을 세운 영국 화학자의 이름을 땄다. 무게는 310kg으로 동력을 얻기 위해 태양전지와 ...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통과됐다며 말이다. EHT는 멀리 떨어진 망원경에서 동시에 받는 신호를 합성해서 지구 크기 정도의 망원경을 가상으로 만드는 방식으로 블랙홀을 직접 관측하는 초장기선 전파 간섭계 실험이다. SPT는 본래 우주배경복사 관측 실험용으로 제작됐기 때문에 블랙홀 관측에 활용하려면 누군가가 남극에 ...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한국에서도 장기 생태 연구가 많이 이뤄지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호주에도 ‘지구사랑탐사대’가 있다? 인턴연구원으로 일하기 직전인 1월 5일부터 10일까지 저는 뉴질랜드에서 열린 ‘세계 양서파충류 학회’에 참가했습니다. 이곳에서 시민과학용 앱 FrogID를 만든 호주 자연사박물관의 ... ...
- 로켓 발사에서 태양광 드론까지! 성층권이 시끌시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 2…, 1… 발사!나는 위성을 실은 로켓이야. 지구의 대기를 통과해 우주까지 갈 예정이지. 무탈하게 대류권을 지나 성층권에 다다랐는데, 어랏? 보통 아무도 없이 조용하던 성층권이 북적거리잖아?! 드론도 있고, 풍선도 떠다니고…. 성층권에 무슨 일이 일어난 거지?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3. 외계인이 우리를 찾게 만드려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제 존재를 눈치챌 수 있도록 수학을 사용해 메시지를 보내야겠어요. 어쩌면 소행성이 지구를 지나던 날 제가 봤던 외계인이 메시지를 확인할지도 모르잖아요! 제가 멋진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수학하면 빠질 수 없는 우리 수동TV 구독자들이 도와주세요.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기다리면서,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안 돼! 1년 뒤에 세상이 멸망한다고?!”안녕, 나는 신비아파트 시리즈의 주인공 구하리야. 난 지금 세상을 파괴할 예언으로부터 이 세계 ... 강림, 다른 친구들과 함께 오피키언의 예언을 막으러 가볼게. 너희도 수학이 예측한 지구 종말이 계산대로 실현되지 않도록 힘써줘! 그럼 이만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시기 바이러스와 유사한 전철을 밟은 존재가 하나 더 있다. 바이러스처럼 수억 년간 지구에 존재했고, 수천 년 전 문헌에도 기록돼 있지만 1940년께 화학요법으로 백혈병을 완화하는 첫 치료 방법이 개발된 악성 종양이다. 악성 종양은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그 수가 무수히 늘어나고 다른 ... ...
- Chapter 03. 감염 I 엉성한데 통했다, 바이러스의 생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써 복제 시간을 아낀다. 엉성해 보이지만 바이러스의 생존 전략은 제대로 통한 것 같다. 지구상에서 바이러스의 영향력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바이러스가 생존을 위해 증식하는 과정을 5단계로 나눠 인포그래픽과 함께 정리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Chapter 03. 감염 I 엉성한데 통했다,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물건은 물론이고 우리 몸속에도 장내미생물만큼 많은 수의 바이러스가 살고 있다. 지구상에서 박테리아(세균)를 숙주로 삼는 바이러스를 통칭하는 박테리오파지의 무게를 더하면 전 세계 코끼리를 합한 무게의 1000배가 넘는다. 문제는 인간에게 낯선 바이러스가 인간을 숙주로 삼을 때 발생한다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