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기상 정보를 활용했지요. 분석 결과, 나무의 개화 시기는 50년 전과 비교해 약 8.5일 정도 빨라졌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또 기온이 1℃ 상승하면 평균 1.2일, 강수량이 1mm 많아지면 약 2.6일씩 식물의 개화 시기가 빨라졌습니다. 이 자료를 통해 다시금 기후 변화에 대한 문제 인식을 크게 느끼게 ... ...
- [만화뉴스] 식물 세포 길러 가구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성장 호르몬을 추가하며 세포 속 리그닌 양을 살펴봤어요. 그 결과, 나무처럼 단단한 정도로 리그닌의 양을 늘릴 수 있었어요. 연구팀은 “원하는 모양의 틀 속에 식물 세포를 키워 가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첩첩산중 강원도가 원래는 열대 바다였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들어, 아프리카 동부의 모잠비크에서 사해에 이르는 5000km에 달하는 지역은 매년 6~7mm 정도 멀어지고 있죠. 아프리카 대륙에 걸친 지역을 ‘동아프리카 지구대’라고 부르는데 땅이 갈라지며 호수가 생기고, 지진이나 화산 활동도 일어나요. 지질학자들은 수천만 년 후 이곳에 바다가 생길 것으로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 아나운서가 꿈? 인공지능에게 맡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닿기 전에 사용자가 정확하게 발음해야 하는 게임이에요. 인공지능이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발음이 정확하면 점수를 얻는답니다. 스마트폰 음성인식 기능의 특별한 점은 사람들의 목소리가 다르더라도 어떤 말을 했는지 인식할 수 있다는 거예요. 사람들은 성별과 사는 지역, 신체 등에 따라 ... ...
- [한페이지 뉴스] 살기 위해 몸통 잘라 버리는 갯민숭붙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시선을 돌리고자 꼬리를 자르고 도망가는 건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꼬리 정도의 신체 일부분이 아니라, 몸통 전체를 잘라버리는 특이한 생물이 발견됐다.미토 사야카 일본 나라여자대 생명과학부 연구원과 유사 요이치 교수팀은 바다에 서식하는 두 종의 갯민숭붙이(Elysia cf. marginata, Elysia ... ...
- [과학동화] 동화 나라 인기템 ‘무지갯빛 유리구두’ 신데렐라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겁니다. 백금층 두께는 각각 25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와 35nm고, 유전체층은 150nm 정도로 각 층은 아주 얇습니다.색이 변하는 마법 같은 일은 유전체층에서 일어납니다. 빛의 특정 파장이 통과하지 못하고 그 안에 갇히기 때문입니다. 갇히는 빛의 파장은 유전체층 속 공간의 넓이와 빛이 ... ...
- [특집]나는 어떤 가드너?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기를 때는 겨울에도 20℃ 이상의 따뜻한 온도를 맞춰야 하며, 낮에는 적어도 2~3시간 정도 햇볕을 쬐어 주는 것이 좋다. 꽃이 크기 때문에 넓은 장소에서 키워야 하고, 화분의 수위가 낮아질 때마다 차갑지 않은 물을 준다 ...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점점 식물을 살리고 잘 키울 수 있게 됐다. 실제로 그는 아무리 바쁜 날도 가능한 한 시간 정도는 일찍 일어나서 식물을 돌본다. 불규칙적이던 그의 생활이 규칙적으로 바뀌는 긍정적 효과는 덤으로 따라왔다.수백 종의 식물을 키웠지만, 그는 여전히 알고 싶은 식물이 많다고 답했다. 같은 종이어도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차가운 도로 위에 식어가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10만여 마리가 포획된다. 매년 6만 마리가 로드킬 사고를 당하는 것을 감안하면 16만 마리 정도가 해마다 사라진다. 현재 한국에 서식하는 고라니 개체 수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다. 개체 수 조절을 위한 연구 또한 부족하다. 지금은 개체 수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당장 문제는 없을 수도 있다. ... ...
- [오일러프로젝터] 뭉쳐서쏠까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농구를 하면 이상하게 패하기 일쑤라 “모이면 (겨우) 1승, 흩어지면 12승”이라 말할 정도죠. 그렇다면 만약 국가대표 대신 전설의 레전드 수학자 10명이 모여 농구 경기를 하면 어떨까요? 과연 ‘LEGEND IS BACK?’일지? 전설의 수학자라고 하면 누가 떠오르나요? 저는 일단 코치인 레온하르트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