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급
유포
전개
전달
전파망원경
망원경
파설
d라이브러리
"
전파
"(으)로 총 1,890건 검색되었습니다.
테제베 일반철도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이루어진다. 집전음은 이선에 의한 아크음, 팬터그래프 공력음(공기 진동으로
전파
되는 소음)으로 나눈다.고속철도는 차량소음의 종류 따라 다음과 같은 주요 저감대책을 채택하고 있다.전동음 : - 차륜과 레일의 표면 평활도 유지- 댐팽차륜*을 사용해 차륜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발생 방지- 주요 ... ...
유·무선 단점보완한 레이저통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유선보다 보안성이 더 떨어진다.레이저는 통신선로가 없고 눈에 보이지 않으며
전파
처럼 어디서나 잡을 수 없기 때문에 중간에서 포착하기도 힘들다. 첨단감지장치를 가진 첩보위성도 마이크로파는 잡아내지만 레이저는 놓친다.레이저의 또다른 장점은 광파이기 때문에 간섭이 전혀 일어나지 않아 ... ...
우리별 1·2호 그후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1. 지상 800㎞ 서 본 한반 도우리별 2호의 지표면촬영카메라는 2백m를 한점으로 인식한다. 비록 성능은 과학위성인 스폿의 카메라에 훨씬 미치지 못하지만 이 ... 생각됩니다. 그러므로 2-3일 동안 주파수 1백-5백MHz, 10-1백kHz대를 사용하시는 분들의
전파
사용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잘 통과하지 못한다. 장애물에 흡수되는 경우도 많다.
전파
가 도달하지 못하는 흔히 '
전파
의 골짜기'라 불리는 난시청지역 또는 통신 불능 지역도 있다.반면에 중력파는 장애물이 없다. 우리 몸속을 그대로 통과하며 지구와 같은 물체도 거침 없이 통과한다. 지구상에서 중력파를 차단할 수 있는 ... ...
(3) 방송통신위성 필요없고 난시청지역도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정보도 실을 수 있지 않은가. 아직은 머나먼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마르코니가 했던
전파
실험처럼 아주 가까운 인접장에서 중력파를 발생시키고 이를 검출하는 실험을 서둘러야 할 때다.우선 기본적인 것은 진동시키는 질량을 크게 하는 일이다. 다음으로는 빨리 진동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중력파의 ... ...
(2) 길이 4㎞ 레이저 간섭계로 미세진동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의견이다.만약 LIGO를 비롯해 세계의 검출장치가 중력파 검증에 성공한다면 중력파의
전파
속도 등 기본적인 성질이 밝혀질 것이다. 서울대 이론물리학연구센터 윤종혁 박사는 "LIGO계획이 완성된다면 1년에 서너번 정도 중력파를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프톨레마이오스 우주 ... ...
세계 최대 어레이
전파
망원경 운영 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기록되는
전파
신호는 천체 이미지를 만들도록 소코로의 대형 컴퓨터로 보내진다.이 VLBA
전파
망원경은 천문학자들이 퀘이사의 핵에서 발산되는 매우 빠른 물질을 관측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된다. 예를 들어 블랙홀 주위에서는 X선으로 복사되었다고 해도 그 빛은 천문학자들에게
전파
의 형태로 보일 수 있다.현대 천문학에서 가장 큰 이론적 구멍은 은하의 진화이론이다. 앞에서 다룬 별의 진화이론은 이미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도 소개가 되고 있을 정도이지만 은하의 진화이론 분야는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곳이 나타난다. 그래서 엿날에는 그 부분에 별이 없다고 생각하였는데 근래에 발달한
전파
천문학 덕택으로 이 공간에는 매우 밀도가 큰 성운이 있어 그 뒤쪽에 있는 별빛을 가리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았다. 바로 성간물질이 뒤의 별빛이나 산광성운의 빛을 차단한다는 것이 다.그래서 보이지 않는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초신성으로 폭발된 게성운에는 중성자별이 존재한다.이 별은 0.033초의 주기로 밝기와
전파
의 강도가 변화한다. 이러한 중성자별을 펄사(Pulsar)라고 한다. 1987년 2월 23일에 우리 은하계로부터 16만광년 떨어진 대마젤란은하에서 1987A라 불리는 초신성 폭발이 관측되었다(사진9). 원래는 태양질량의 1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