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간"(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정수 남매의 수학 용어 사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수는 원의 겹치지 않는 부분에 쓰면 돼요. 만약 공통인 수가 없다면 겹치는 부분을 빈 공간으로 두면 되지요.벤 다이어그램은 ‘드 모르간의 법칙’처럼 복잡한 집합 기호로 된 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돼요. 수학뿐 아니라 각 국가 간의 관계, 사람들의 관계, 동식물의 관계 등을 시각화할 때도 많이 ... ...
- 어떻게 내 마음을 읽었지? 프로페서 X가 만난 아키네이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합니다. 1024개 숫자로 이뤄진 단어 벡터가 1024차원 공간에 나타나면, 이 결과를 2차원 공간에 투사했을 때 벡터 사이의 거리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벡터 사이의 거리로 무엇을 알 수 있냐고요? 의미가 가까운 단어 벡터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컴퓨터는 왕과 왕비가 무엇인지 모르지만, 왕을 나타내는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찾는다. 자율주행자동차 사람 없는 자동차에게 길을 알려라!자율주행자동차는 3차원 공간을 2차원 평면에 놓을 때 모든 선이 향하는 점인 소실점으로 차선을 찾는다. 모든 선을 소실점과 연결했을 때 특정한 각도를 이루는 선의 쌍들이 차선이다.소실점은 영상 속 모든 선분을 연장해 교점을 구하면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않는다.한국의 갯벌 천일염은 대량 생산하는 천일염처럼 바다에서 물을 끌어온 뒤 그 공간에서 바로 물을 증발시켜 소금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 ‘증발지’라고 부르는, 갯벌을 다진 땅에 바닷물을 가둔 뒤 일정 시간 증발시키고 다음 증발지로 흘려보내는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하며 만든다. 그 ... ...
- [Origin] 영국 쿼드람 인스티튜트 바이오사이언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2018년 이전할 계획이다. 새로운 건물에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된다.식품과학의 모든 것을 연구한다QIB는 약 한 달 전인 4월 28일에 생겼습니다. 아마도 지금까지 소개한 연구소 가운데 가장 젊은 것 같은데요. 실은 1986년 11월에 창설된 영국식품연구소(Institute of Food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피타와 모양이 비슷했다(하지만 피타의 색은 하얗다).빵을 잘라보니 안에 커다란 공간이 있었다. 스팀 없이 건조하게 구워지는 동안 반죽이 부풀어 올랐기 때문이다. 맛보기 위해 손으로 빵을 당겼는데 생각보다 단단했다. 일반 밀보다 글루텐이 거의 없어 점탄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입에 넣는 ... ...
- 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같은 전하를 지니고 있어서 서로를 밀어내지요. 이렇게 소금이 분리되고 나면, 남은 공간에 담수가 모여요. 모세관 현상은 저절로 일어나기 때문에 이 장치는 전기 없이도 바닷물을 민물로 바꿀 수 있어요.김성재 교수는 “3차원 프린터로 장치를 쉽게 만들수 있고, 1분에 물 한 컵(100mL) 정도 되는 ... ...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자, 첫 번째 비법은 바로 빛을 비추는 ‘각도’에 주목하라는 거야. 카메라는 3차원 공간에 있는 물체를 2차원 평면인 사진으로 옮기는 거야. 그래서 사진 속 물체는 실제 모습보다 입체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 연예인의 실물이 더 예쁘고 잘생겨 보이는 이유도 사진이 뚜렷한 이목구비를 잘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폐포)가 제 기능을 못하기 때문이다. 태아는 임신 23~24주에 허파꽈리에 공기가 들어갈 공간을 만들면서 호흡할 준비를 하게 된다. 이후 엄마 뱃속에 있는 동안 허파꽈리에는 양수가 가득 차 있다. 양수가 차 있는 동안 허파꽈리는 호흡을 위해 모양과 기능이 좀 더 정교해 진다. 아기가 태어나면서 ... ...
- [쇼킹 사이언스] 거대 ‘꼬부기’ 무리가 나타났다?! 모에라키 바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고생대 시기 얕은 바다에서 진흙이 쌓이면서 지층이 생겼고, 이 지층 사이사이 빈 공간에서 마그네슘과 칼슘 성분이 침전되면서 결핵체들이 자라기 시작한 거예요.가장 큰 2.7m짜리 결핵체가 자라는 데는 약 550만 년 정도가 걸렸을 것으로 보여요. 일부 결핵체들은 성장 과정에서 표면이 크게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