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d라이브러리
"
공간
"(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실용성으로 무장한 재난구조로봇 3인방을 소개한다. 장애물이 뭐죠? 나는 뱀 로봇좁은
공간
을 비집고 들어가 생존자를 확인하는 임무에 최적화된 로봇은 뱀 모양이다. 실제로 그동안 다양한 뱀 형태의 로봇이 개발됐다. 독일 ‘에마미 디자인 스튜디오’가 2014년 애벌레를 본 따 만든 ‘로보웜(Robo ... ...
[Career] 63빌딩보다 큰 선박, 어떻게 설계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가장 중요한 잠수함의 경우 방 배치가 완전히 달라진다. 잠수함 승조원이 생활하는
공간
보다 무기고를 우선적으로 배치한다. 잠수함에서 구조적으로 가장 안전한 중앙에 제어실과 무기고를 배치하는 식이다. 무게의 중심을 잡는 데 사용되는 액체 탱크 위치도 중요하다. 잠수함이 수면 위로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같은 과정이 여기저기서 발생해 다른 우주가 생겨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이런 우주
공간
전체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면 서로 떨어진 우주가 수없이 많은 포도송이 같은 모양이라고 상상해 볼 수 있다. 무한히 갈라지는 우주양자역학은 기존 이론으로는 잘 설명이 되지 않았던 원자나 전자 ... ...
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미르자카니 눈을 감다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단순 측지선의 개수에 대한 결과도 도출해냈다. 미르자카니 교수의 연구 결과는 우주
공간
의 모양과 부피를 이해하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기하학으로 수학의 다양한 분야를 연결했다고 평가받았다. 이런 연구 성과로 미르자카니 교수는 2014년 서울에서 열린 세계수학대회에서 여성 최초로 ... ...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수 있는 범위가 좁다. 배우의 얼굴에서 얻은 3차원
공간
좌표를 일일이 유인원의 3차원
공간
좌표로 변환하는 작업을 거쳐야 한다. 랭글랜즈 감독은 “시저의 얼굴에 담긴 고뇌는 배우의 연기와 디지털 엔지니어 998명의 합작으로 탄생했다”고 말했다. 유인원의 털 표현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 ...
Part 2. 5人 5色 인터뷰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9일 만났다. 샴푸도 못 쓰게 한 어머니의 영향류 대표는 한동대 건설도시환경공학부(현
공간
환경시스템공학부)를 졸업하고 GIST 지구·환경공학부에서 수(水)처리 기술을 주제로 2011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가 유년기를 보낸 1980년대에는 환경에 대한 인식이 그리 높지 않았는데, 어머니는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쇠구슬) 때문에 부분적으로 휘어있다 해도, 비닐 전체는 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우주
공간
도 마찬가지다. 사실 우주는 너무 넓다. 관측 가능한 범위 내에서 우주의 모양을 추측해 볼 수는 있지만, 전체 모양은 끝내 알아내지 못할 수도 있다. 우주의 모양을 관측할 정도로 이론과 과학 기술이 ... ...
[과학뉴스] 뇌가 크면 외국어를 잘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알아냈다. 쥐에게 아쿠아포린4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켰더니 해마 부위가 커지지 않고,
공간
을 기억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점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아쿠아포린4 유전자의 발현이 적은 사람들도 연구한 결과, 이 유전자가 발달한 사람에 비해 뇌 크기가 작을 뿐만 아니라 언어 학습능력이나 유창하게 ... ...
[Issue] 승용차 강판이 ‘쿠킹호일’입니까?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오히려 안전하다?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 충격량 보존 법칙에 따라 사람이 없는
공간
이면 차라리 구겨지는 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속도로에서 버스와 부딪칠 경우엔 충격량이 너무 큽니다. 차체의 무게가 승용차의 10배가 넘고 빠른 속도로 달리기 때문입니다. 부딪치는 ... ...
[과학뉴스] 식물과 두뇌의 성장이 유사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규칙을 따라 자라는 이유는 뉴런과 식물 모두 가지가 서로 겹치지 않으면서 가능한 큰
공간
을 덮기 위해서일 것”이라고 말했다.연구팀은 다른 식물도 이 규칙에 따라 성장하는지, 식물과 뉴런이 이와 같은 수학적 규칙에 따라 자라는 분자 수준의 원리는 무엇인지도 밝힐 계획이다. 이번 연구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