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정
절차
순서
길
단계
노선
항로
뉴스
"
경로
"(으)로 총 2,197건 검색되었습니다.
日도쿄전력, '오염수 방류' 전방위 홍보…전문가들 해석도 엇갈려 대응 '이상신호'
2019.10.04
있겠는가”라고 지적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세슘137이 바다로 유출된
경로
와 추정량을 도식화한 그림이다. 이에 따르면 사고 초기 낙진으로 떨어진 게 15PBq(페타베크렐), 직접 유출이 5PBq에 이르렀다. 반면 지하수나 강을 통한 유출은 각각 연간 15~20TBq(테라베크렐), 10~12TBq로 양이 훨씬 ... ...
[2019노벨상]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생물학·의학 분야 유력 후보10人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과정과 축을 만드는 과정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클레버스 교수는 Wnt 신호 전달
경로
를 활용해 지금은 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Wnt가 어떤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연구했다. 이를 통해 세포주나 실험동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약물을 시험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환경을 조성했다. 존 캐플러 ... ...
"미래엔 질환 맞춤형 나노입자가 암치료 효과 높일 것" IBS 콘퍼런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9.30
연구해 특정 암이나 질환에 걸렸을 때 몸속에서 나노입자가 최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
를 찾고 이를 지도화(매핑)하는 데 관심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나노입자 및 나노재료 분야가 최근 한국에서 크게 유행한 ‘의공학’의 뒤를 이을 새로운 의학-과학 융합 학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 ...
국립환경과학원 "접경지역 하천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검출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19.09.27
나며 한국에 상륙했다. 유입
경로
등을 놓고 정부가 역학 조사에 나섰으나 아직 유입
경로
가 파악되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지난 5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발한 이후 방역에 실패했다는 추정을 근거로 북한에 인접한 하천에 오염수가 섞여 들어온 것 아니냐고 지적하기도 했다. ... ...
화학물질 독성 실험 AI 활용해 동물 희생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7
접근법은 달랐다. 화학물질과 최종 독성의 상관관계만을 분석하는 게 아니라 ‘독성발현
경로
(AOP)’ 개념을 접목했다. 화학물질이 흡입됐을 때 생체 내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독성이 발현되는지 단계별 메커니즘을 찾아 화학물질의 흡입독성을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전 세계에 쌓여 ... ...
광유전학부터 계량경제학까지…올해 노벨상 유력 후보 19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9.26
독일 막스플랑크 생물물리학연구소 명예소장이 이름을 올렸다. Wnt라는 신호전달
경로
를 밝힌 한스 클레버스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 교수, 면역세포인 T세포가 자체적인 항원에는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T세포 관용’ 현상을 밝혀 자가면역질환 과정을 밝힌 존 캐플러 미국 국립유대인연구센터 ... ...
예상 못한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원인은 바이러스의 생존력과 감염력
동아사이언스
l
2019.09.25
ASF 바이러스는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돼지 배설물이 ASF바이러스 확산의 중요한
경로
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농식품국(FAO) 역시 “상온의 돼지 배설물(대변)에서 평균 11일 생존이 가능하다”고 밝히고 있다. ASF 바이러스의 안정성은 사체에서 더욱 위력을 보인다. FAO에 따르면 ASF ... ...
오염된 식물사료·강물로도 확산…해외사례로 살펴본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경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9.25
북한에서 발원하는 하천 유역에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동유럽을 휩쓸 때 주요 전파
경로
중 하나로 지목된 것이 다뉴브강이다. 유럽식품안전청(EFSA)은 2017년 11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유럽에서 발발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을 분석했더니 오염된 다뉴브강의 물을 돼지가 마심으로써 14만 마리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프리카돼지열병 어떻게 한국까지 들어왔을까
2019.09.24
걸 방해하는 약물(치료제)을 설계할 수도 없다. 면역세포에 침투한 바이러스는 다양한
경로
로 면역세포의 신호체계를 교란시키며 증식한다. 면역세포가 적이 침투했다는 신호를 보내지 못하게 하고 자살(apoptosis)하려는 움직임도 차단한다. 면역세포가 살아있어야 바이러스가 증식할 수 있기 ... ...
[Q&A]문답풀이로 살펴본 아프리카돼지열병
동아사이언스
l
2019.09.18
확산 요인으로 꼽힌다. 이번에 한국에서 처음으로 확진 판정을 받은 농가에 대한 유입
경로
는 확인되지 않았다. Q. 그 증상은 A. 돼지에게 고열, 청색증, 림프절과 내장의 출혈 따위를 증상을 일으킨다. 이런 증상을 겪고 보통 열흘 안에 폐사한다. Q. 인간에 대한 영향은 A 아프리카돼지열병은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