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지"(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근육을 내 맘대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그럼 환자는 마치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처럼 로봇을 조종해 몸을 움직일 수 있답니다.하지만 이렇게 많은 장치를 달면 로봇이 무거워지기 쉬워요. 그래서 로봇의 힘을 반대 방향으로 받쳐 몸을 최대한 가볍게 해 주는 ‘중력 보상기’도 꼭 필요하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이언맨 ... ...
- [가상 인터뷰] 산불, 온도와 냄새로 알아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잠을 자고 있더라고. 이 무더운 날씨에 낮잠을 자는 건가 해서 건드려 봤는데 꿈쩍도 하지 않았어.그런데 그때 산불이 났어! 동부피그미주머니쥐가 너무 깊은 잠에 빠져버린 것 같아 초조하던 그 순간, 갑자기 일어나 도망가더라고! 어떻게 산불이 난 줄 알고 일어난 거지?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명재 윤증고택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벼슬길에 나서지 않고 검소하게 살았기 때문에 큰 집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며, “하지만 집안 곳곳에는 윤증 선생의 실용적인 생각이 듬뿍 담겨 있다”고 설명해 주셨답니다.입구에서 바라본 윤증고택은 대문과 담장이 없기 때문에 자연 속에 그대로 안긴 듯 넓은 저택 전체가 한눈에 들어왔어요. ... ...
- [해외취재] 비만 잡는 ‘움직이는 학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부모님과 함께 학교 간호사나 의사와 상담을 해서 가족 전체의 식습관과 운동 등을 관리하지요. 만약 3개월 동안 비만을 관리했는데도 체중이 더 늘어난 경우에는 비만과 관련이 있는 혈당과 혈중지질, 갑상선호르몬 등을 체크하는 혈액 검사를 받아요. 또 영양사와 운동처방사, 심리상담사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결합하려는 성질이 있어요. 또한 대체로 쓴맛을 내거나 만졌을 때 미끈미끈하지요.하지만 모든 산성 용액이 신맛을 내고, 모든 염기성 용액이 쓴맛을 내는 건 아니에요. 예를 들어 달콤한 사이다는 시지 않지만 산성이지요.따라서 산성과 염기성 용액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산염기 지시약이 필요해요. ... ...
- [과학뉴스] 금화조는 알에게 노래로 말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아이가 어머니의 몸속에서 자라기 때문에 어머니가 먹고 느끼는 것들에 영향을 받아요. 하지만 새는 알을 낳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부모가 알에 영향을 줄 수 없다고 생각했답니다.폰즈 박사팀은 알을 품은 금화조가 부화 5일 전부터 노래를 부르는 현상에 주목했어요. 이 노래가 알에 ... ...
- [도전! 코드마스터] 장애물을 피해 피아노를 옮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정해진 장소에서 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일의 순서까지 생각해 전체 경로를 계산해야 하지요.이때 여러 대의 로봇이 서로 충돌 없이 최단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알고리즘을 짜면 매우 편리할 거예요. 3D 공간에서 계속 상상하며 경로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만든 ... ...
- [과학뉴스] 바퀴벌레 로봇이 사람을 구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펼쳐서 몸을 똑바로 세울 수 있어요. 또한 책상 위로 점프해서 올라가 스스로 충전도 하지요. 무게가 약 60g인 이 로봇은 150cm 정도 높이를 점프할 수 있답니다. 그래서 이 로봇을 ‘점프하는 바퀴벌레(jump roach)’라고 불러요.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생물학과 로버트 폴 교수 연구팀도 바퀴벌레를 본뜬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우유공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운동을 하면 칼슘이 더 잘 흡수된다”면서 “건강을 위해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편식을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답니다. 우유로 맛있는 빙수 만들기기자단 친구들은 마지막으로 우유를 더 맛있게 먹는 비법을 배워 보기로 했어요. 바로 우유 빙수 만들기! 우유로 빙수를 만들면 얼음을 ... ...
- Part 2. 자동차, 스스로 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정면에 달린 하나의 센서로만 차선을 읽었기 때문에 이 센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올바른 길을 찾을 수 없었어요. 반면 서울대학교 서승우 교수팀이 제작한 자율주행 자동차인 ‘스누버’에는 자동차 사방에 센서들이 달려 있어요. 기존의 자율주행자동차가 바닥만 보고 걷는 수준이라면,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