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지"(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로봇이 배양액 속을 떠다녀서 줄기세포를 넣기 어려운 상황을 유 교수팀에서 빨리 공유하지 않았다면, 최 교수팀은 그 사실을 놓친 채 다음 단계 연구를 하고 있었을 수 있다. 유 교수는 “연구 진행 상황과 의견을 수시로 교환했던 것이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SSG와의 첫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대부분 지구처럼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해요. 이 방향은 공전하는 방향과도 같아요. 하지만 금성만은 유일하게 시계 방향으로 자전한답니다. 자전축이 공전 궤도에 대해 177.3°나 기울어져 있거든요. 단 공전 방향은 반시계 방향 그대로예요. 결국 자전축이 다른 행성들과 반대로 뒤집힌 셈이지요.200 ... ...
- [게임카페] 피하고 맞추고 탑다운 슈터 피하고 맞추고 上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봅시다.플레이어 비행기는 화면 하단의 가운데에 놓입니다. 이 비행기는 플레이어가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레이저를 발사합니다. 플레이어가 화면의 오른쪽을 터치하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왼쪽을 터치하면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이 비행기가 적 비행기나 적이 쏜 레이저, 장애물인 운석과 ... ...
- [과학뉴스] 원숭이가 말 못하는 진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분석했다. 그 결과, 주파수 스펙트럼이 거의 일치했다.가잔파르 교수는 “원숭이가 말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해부학적 요인이 아니라 말을 하는 데 필요한 뇌의 신경회로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2016년 12월 15일자에 실렸다 ... ...
- [과학뉴스] 어디 사니? 날개 보면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조나단 케네디 박사후연구원은 “날개가 특별히 진화하지 않는 한 새들은 장거리 여행을 하지 않는다”며 “이번에 제작한 지도를 통해 인류는 새의 날개 모양과 지구상 분포 사이의 관계를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지B’ 2016년 12월 14일자에 발표됐다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모니터에 파란색 우주선 보이죠? 그 우주선이 날 수 있도록 집중해주세요.” 2016년 9월 6일 배진우 마인드앤헬스의원 원장은 기자의 정수리에 전극을 붙인 뒤, 다짜고짜 우 ... 위한 신경과학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마음과 몸의 건강을 되찾는 그날까지 기자 역시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때, 접촉면에서는 움직임을 더디게 만드는 현상이 나타나요. 그 현상을 ‘마찰’이라고 하지요.마찰은 ‘문지를 마(摩)’와 ‘문지를 찰(擦)’이 합쳐진 한자어로, ‘물건과 또 다른 물건을 서로 맞닿아 비비다’라는 뜻을 갖고 있어요.보통 마찰을 일으키면 열과 전기가 만들어진답니다. 손바닥을 ... ...
- [과학뉴스] 유재석 옆엔 박명수, 우두머리 옆엔 2인자 침팬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과시 행동을 하거나, 다른 경쟁 우두머리 침팬지와 싸울 때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기도 하지요.대신 2인자 수컷은 우두머리 수컷의 도움을 받아 다른 수컷들보다 비교적 쉽게 짝짓기에 성공한답니다. 실제로 2인자 수컷 침팬지의 짝짓기 성공 확률이 다른 수컷들보다 3배까지 더 높았어요. 짝짓기 ... ...
- Part 3. 혈관 속을 누비는 로봇 의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자석에 끌리는 성질이 있는 니켈은 자기장에 반응해 섬모를 움직이는 역할을 하지요.*㎛(마이크로미터) : 1×10-6m, 백만 분의 1미터.*섬모 : 이동이나 먹이를 잡는 데 쓰이는 생물의 몸 표면에 있는 털.이렇게 만든 섬모는 자기장에 의해 둥글게 움직이면서 거북선이 노를 젓듯이 앞으로 나아가요.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흔한 텃새인 곤줄박이는 손에 잣을 들고 있으면 날아와서 물고 갈 정도로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아요.광릉숲에는 비교적 흔한 오색딱따구리부터 천연기념물 제242호인 까막딱따구리까지 딱따구리 종류도 많이 살고 있어요. 수목원의 길을 걷다 보면 딱따구리들이 썩은 나뭇가지를 쪼아 벌레를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