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어
나랏말
한국말
국어과
국어과목
우리말
한국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말
"(으)로 총 3,995건 검색되었습니다.
통계로 태어나서 통계로 죽는다?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중고차 10대 중 6대는 사고차?“정비소에서 새로 산 중고차에 사고 흔적이 있다고 확인해 줘 더 싸게 사기로 했어요.”“거봐요. 자동차 사고 기록부터 확인해 보고 사라고 했잖아요.”“아는 사람이 소개시켜 준 중고차를 전문적으로 파는 사람이라서 그대로 믿었는데….”“중고차 10대 중 6대가 ... ...
헬륨 부족하면 첨단 연구도 STOP! 헬륨 위기가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헬륨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은 목소리를 변하게 하는 가스를 떠올린다. 풍선이나 비행선을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헬륨이 IT사회에 없어서는 안 되는 광섬유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은 잘 모른다. 광섬유는 2000℃ 이상의 고온으로 달군 뜨거운 유리를 매우 가늘게 당겨서 만든다. 그런데 대 ... ...
F1 머신에 민무늬 광폭 타이어를 다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굉음과 함께 시속 360km로 질주하는 F1 머신을 보고 있으면 온몸에 전율이 오고 심장이 고동친다. 온 경기장을 울리는 큰 소리 때문에 머신을 굉장히 크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머신의 크기는 사실 승용차의 1/4밖에 되지 않는다. 공기 저항을 줄여 빠르게 달리기 위해서다. 하지만 머신은 작게 보이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지구에서 가장 별이 잘 보이는 곳은 어디일까. 문명의 불빛이 미치지 않는 곳, 칠흑 같은 어둠 속에 오로지 별빛만이 존재하는 곳, 가장 깊은 우주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곳. 그곳을 찾아 7인의 별밤지기들이 천체관측원정대를 꾸렸다. 관측지는 호주 천문학의 수도인 쿠나바라브란(Coonabarabran)이다.우 ... ...
꼬마 천문학자들의 천문대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두근두근~, 드디어 우리가 손꼽아 기다리던 그 날이 왔어. 무슨 날이냐고? 우주를 보는 ‘거대한 눈’을 만날 수 있는 날! 바로 보현산천문대에 있는 한국 최대 광학망원경과 태양망원경을 만날 수 있는 날 말이야. 이 망원경들은 평소엔 연구에만 쓰이다가 일 년에 다섯 번만 일반인들에게 공개되거 ... ...
Part 4. 집에 오는 길은 힘들어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즐거운 한가위 연휴를 마치고 이제 집에 가는 일만 남았어요. 한가위는 다 좋은데 할아버지가 계신 곳까지 다녀오는 게 너무 힘들어요. 그래도 운전하느라 피곤하실 아버지의 말동무가 됐어요. 그러다보니 교통에 대해 많은 걸 알게 됐죠.명절 교통체증에 관한 모든 것아빠, 명절만 되면 고속도로 ... ...
왜 국제수학자대회를 열려고 하는 걸까?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 2002년 한·일 월드컵 열기가 채 식기도 전에 중국에서는 국제수학자대회가 개최됐단다. 장쩌민 주석이 개막식 내내 참석할 만큼 중국에서는 중요한 행사로 치러졌지. 여기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2002년 국제수학자대회 이후의 중국 수학계의 변화란다. 중국 정부는 물론, 기업들의 지원도 기하급 ... ...
카메라에 담긴 수학, 영화사진작가에게 듣다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검색창에 ‘무적자’라고 쳐 봐. 영화소개와 함께 사진을 볼 수 있을 거야. 멋지게 서있는 송승헌 사진 보이지? 오늘 만날 주인공은 영화 촬영장에서 끊임없이 카메라 셔터를 누르는 한세준 작가님이야. 수학동아에서 왜 영화사진작가님을 만나냐고? 그야 수학 사고력으로 무장했다는 제보가 있었 ... ...
눈을 크게 뜨고 봐야 하는 통계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통계청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인구는 4888만 명이다”와 같은 발표를 들어 봤을 거예요. 통계가 뭐기에 통계만 담당하는 정부기관이 있는 걸까요? 이 말은 우리 생활에 통계가 중요하다는 뜻이겠죠. 과연 통계란 무엇일까요? 우리나라에는 여자가 많을까, 남자가 많을까? 10년 뒤 우리나라 인구는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이중휴면 전략 펴는 깽깽이풀씨앗이 모체를 떠나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는 방법도 가지가지입니다. 물론 그에 맞춰 씨앗(또는 씨앗을 감싸고 있는 과피)의 형태도 적응돼 있지요. 마치 헬리콥터처럼 날개가 돌면서 떨어지는 단풍나무열매를 본 적이 있겠죠. 이처럼 껍질의 일부가 비늘처럼 돼 바람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