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충
버그
곤충류
육각류
d라이브러리
"
곤충
"(으)로 총 1,55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면 물질의 추적 왜 잠을 자게 되는가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물질들 중 여러 가지는 다양한 포유동물들에게 영향을 끼친다. ‘이노우에’는 물고기나
곤충
들도 그러한 화합물에 반응하는가를 알고 싶어 했다. 이러한 동물들이 진짜로 잠을 자는지는 결정하기 힘든 문제이지만, 그것들이 매일 규칙적인 정지상태의 시기를 갖는다는 것은 확실하다. 두 종의 ... ...
비 활동성의 과학적 고찰 게으름, 탓할것만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마치 썩은 나무등걸처럼 보인다. 움직이지 않고 색갈도 나무등걸처럼 보이니까 새나
곤충
들이 앉았다가 뱀들의 먹이가 되는 것이다. 이경우는 자기보호와는 반대되는 적극적인 의미가 있는 것이다.●─ 천재중에 게으름뱅이 많아 그럼 사람의 일을 보자. 사람들은 피곤할때 조금씩 쉬거나 밤에는 ... ...
가장 생명력이 강한 것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꽃도 마찬가지인 것이다.고생물학자들은 조사를 계속하고 있다. 호박에서 발견되는
곤충
하나하나가 귀중하다.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New York bought a mineral collection from Columbia University in 1980. The mineral collection ...
옛 괴물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가장 커서 2 1/3 갤론의 용적을 갖고 있었다. 이것은 타조알의 7배에 해당된다. 또는
곤충
을 생각해보라. 길이가 7인치 무게가 3 1/2온스되는 풍뎅이(딱정벌레)가 있다. 그러나 3억년 전에는 길이가 1피트 날개너비가 2 1/4피트 되는 잠자리가 있었다. 그러면 생물체는 퇴화하고 있는가? 나는 그렇게 ... ...
견학명소가 된 국립과학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나비들을 '한국접지'라는 도감으로 펴낸 데 이어 '한반도의 하늘소와 갑충지'라는
곤충
도감이 곧 출간될 예정이다. 과학관측은 이곳에 보유하고 있는
곤충
, 특히 산림해충에 관한 자료들을 연구목적 등으로 이용하고자 요청하면 협조해주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보다 알찬 전시공간의 구성과 함께 ... ...
지구의 신비를 파헤치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관한 연구에만 일생을 바치고 있는 노교수를 만나게 되었다. 삼엽충의 눈은 대다수의
곤충
의 눈과 같은 복안으로 되어 있다. 삼엽충 가운데는 모래나 뻘속에 파고 들어가 생활하는 종류가 있으며 이들의 눈은 약간의 빛으로도 사물을 분간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되어 있다고 한다. 따라서 그들의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잡식성이지만 물속에서 주로 식물성(풀과 풀뿌리 등)과 약간(약 20% 미만)의 동물성(수중
곤충
및 기타)먹이를 취식하는 흰죽지(오리)가 몰려들 수 밖에 없게 되었다. 비오리는 개발 전의 최대수 6백에서 개발 후에는 1천~3천1백가지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흰죽지는 개발 전에는 이 동시기에 ... ...
가장 중요한 화석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비행이 가능해지기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실상 깃털은 우선 날기 위한 목적보다는
곤충
을 잡는 일종의 '그물' 로서 진화되었을지 모른다. 깃털을 날기 위해서와 단열 장치로서 사용하게 된 것은 나중에 이차적 목적으로 발전되었을 것이다.그러나 1985년 영국의 천문학자 '프레드호일'은 그의 두 ... ...
나일강농어 거대한 물고기가 일으킨 재난 토착어류멸종, 식량자원고갈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농어는 완전히 자랐을 때 무게가 2백50kg, 크기는 2m정도나 되며 플랑크톤이나 수초(水草)
곤충
의 알등은 전혀 먹지 않고 작은 물고기만을 잡아 먹는다. 이에 따라 빅토리아호의 2백여종 물고기가 거의 절멸상태에 빠져있으며 호수근처에 사는 원주민의 가장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 고갈되고 있다는 ... ...
PART Ⅰ 마이크로 코스모스 사진으로 본 신비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현미경을 통해 우주처럼 끝없이 펼쳐지는 마이크로의 세계를 본다. 인간의 육체가 갖는 한계를 넘어서려는 끝없는 욕구는 과학기술을 발달시킨 ... 되었다. 그 세계에는 육안으로 볼 수 없던 미생물 뿐 아니라 이제까지는 무심코 지나쳤던
곤충
과 동식물이 '거대한 괴물'이 되어 나타난다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