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충
버그
곤충류
육각류
d라이브러리
"
곤충
"(으)로 총 1,552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
을 먹이로 하는 식충식물의 세계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있고 아랫쪽에는 자루가 짧아 선모가 한줄로 지렛대와 접하고 있다. 질식사 당하는
곤충
들함정문은 안쪽으로만 열리도록 되어 있다. 그 하단부에는 편평표피가 2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지렛대는 3~5개의 긴 세포들로 배열되어 자극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지렛대에 접한 선모는 버튼 모양의 ... ...
생명 모양의 원천 나선형의 세계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아니다. 성충이 되면 먹이따기를 전혀 하지 않는 종류도 있기 때문이다. 나비는 기능적인
곤충
이라기보다 오히려 아름다운 몸을 가진 곤층이다. 위의 사진은 환형동물(環形動物·annelida·갯지렁이나 지렁이 등)의일종인 가시비녀다. 산호에 구멍을 뚫고 석회질의 단단한 관속에 파고 들어 그 속에 ... ...
컴퓨터와 인간두뇌 뉴런컴퓨터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능력도 지각 사고 행동 및 기타 일반 문제해결 능력을 모두 고려할 때, 사람은 커녕
곤충
인 벌의 수준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이처럼 어마어마한 인간 두뇌의 잠재력을 가늠하는데 도움이 되는 몇가지 실례를 들어보기로 한다.우선 인간의 뛰어난 감각 및 지각능력에 대하여 논의해 보기로 하자. ... ...
왜 빛을 내는가? 그 결과로 무엇을 얻고 잃는가? 여름밤의 영롱한 빛 반딧불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암컷으로부터 받았을 때 곧바로 공중에서 떨어진다음 기어서 접근하는 것이다. 이는
곤충
세계의 생존을 위한 머리싸움이라고 볼 수 있다. 말하자면 안굴라타 반딧불이 자기방어를 위해 익힌 노하우가 그런 행동을 취하게 한 것이다.|표시한 후에 방류한다포터리스 숫컷은 포티너스와 파이락토네가 ... ...
아쉬운것 ·잃는것·그늘진것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생각한다. 그때 겪은 진통의 깊이만큼 우리는 성장하게 된 것이다.난 이 과정을
곤충
의 탈피에 비유하고 싶다. 우리의 몸크기보다 작아져버린 기존의 껍질을 벗어버리고, 새 껍질을 취해야 한다는 얘기다.벌써 꽤 오래 대학생으로 지내왔지만, 주체적 진리를 찾기엔 경험의 폭이 너무 좁고, 깊이가 ... ...
"결국 그성맞고 탐욕스런 종(種)이 번창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중서부의 대초원에서 들소떼와 함께 퍼져있던 새종류.들소가 사는곳에는
곤충
이 많고 이
곤충
은 대식가인 찌르레기의 식욕을 채워 주었다.그러나 들소떼가 거의 사라지자 찌르레기는 숲으로 이사를 했다.찌르레기는 자기 둥지를 만들지 않는다. 알을 노래새의 둥지에 낳고 새끼는 거들떠 보지도 ... ...
대형의 아동과학전집류 붐 이뤄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재미있는 그림으로 이해시켜 주는 색다른 책이다. '우주 수수께끼' '날씨는 마술장이' '
곤충
의 신비한 생활' '컴퓨터란 무엇인가' 등등 20권으로 구성, 흥미있는 과학의 세계가 만화로 펼쳐진다. 학원출판공사, 가격은 전질정가 19만8천원.학습도감백과우주 인체 과학실험 동물 식물 조류 등 교과과정의 ... ...
자기보호의 본능에 따른 「경고」성 진화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않는다. 병아리에게 색칠한 벌레와 그냥벌레를 주면 색깔이 덤덤한 벌레를 쪼아 먹는다.
곤충
이나 파충류가운데에는 약탈자의 눈에 쉽게 띌 화려한 색깔을 가진게 상당수 있고 식물도 그렇다. 그런데 이들은 대부분 보기와는 달리 맛이 없거나 나쁜 냄새가 심하거나 유독한 화학물질을 지니고 있다 ... ...
이색동·식물과 민속자료를 한눈에 제두도 민속자연박물관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통해 일반에게 공개하고 있다. 금년도의 특별전시계획을 보면 '제주도의 출토유물전시' '
곤충
전시' '제주연근해해조류전시' '제주야생란전시' 등이 순서대로 매분기마다 계속될 예정, 또 전시시설 이외에도 '신비의 섬 탐라'라는 영화가 매일 4회 상영되고 있어 제주도의 자연과 생태계에 대한 깊이 ... ...
최고(最古)의 날짐승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곤충
을 잡으려고 앞발을 뻗었을지 모른다. 깃털은 앞발의 유효사정거리를 넓혀
곤충
을 곤경에 빠뜨리게 했을 것이다.그러나 깃털은 또한 낙하산과 같은 역할로 했을 것이다. 시조새가 껑충 뛸 경우 그것은 깃털이 표면적을 좀 더 넓게 해주기 때문에 공중에 좀 더 오래 머무를 것이다. 만약 그가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