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10,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위상적인 미래를 엿보다수학동아 l201612
- 독일 외과 의사이자 해부학자인 줄리어스 울프는 많은 사람의 뼈를 해부해 본 결과 패턴을 발견했다. 그리고 1892년에 사람이나 동물의 뼈는 받는 압력에 따라 변형된다는 ‘울프의 법칙’을 발표했다. 뼈가 환경에 따라 스스로 최적화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엄밀한 증명이 있었던 건 아니고, ... ...
- [소프트웨어] 개구리처럼 폴짝폴짝 플래피 버드수학동아 l201612
- 즐길 수 없어요. 플래피 버드를 개발한 베트남 출신 개발자 응우예 하 동이 게임을 구글과 애플 스토어에서 지웠거든요. 이 게임에 중독된 사람들이 많다는 소식을 듣고 회의감이 들어 출시 1년도 안 돼 게임을 삭제했어요. 하지만 원조 플래피 버드를 모방한 게임이 많이 있어 지금도 게임을 즐길 수 ... ...
- [재미] 마왕의 등장수학동아 l201612
- “두 직선이 구부러지는 공간, 곡면에 두면 돼요.”“구부러진 곡면?”유클리드 공준은 구부러지지 않은 평평한 면이나 공간에서만 성립했다. 곡면에서 유클리드의 다른 공준은 여전히 성립하지만, 다섯 번째 평행선 공준이 성립하지 않았던 것이다.“ 많은 수학자가 유클리드 아저씨의 공준을 증 ... ...
- [수학실험실] 자르고 접어서 대칭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12
- ‘ㅍ’은 선대칭이면서 점대칭인 도형이다. 이처럼 대칭의 종류는 다양하다.대칭은 한글 자음뿐 아니라 건축물이나 전통적인 장신구 등 우리 주변 어느 곳에서나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대칭이 있는 도형은 안정적인 느낌이 들 뿐 아니라 균형이 잡혀 아름다운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같은 모양이 ... ...
- [수학동아클리닉] 여러 가지 문제 해결하기수학동아 l201612
- 마지막 단원인 ‘여러 가지 문제’에서는 논리 게임인 스도쿠와 네모네모로직, 긴 띠 모양의 종이를 접어 만든 플렉사곤 등을 다룹니다.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스도쿠’라는 이름은 외로운 숫자라는 뜻의 한자어 ‘수독(數獨)’을 일본식으로 읽은 것입니다. 스도쿠 ... ...
- [Editor’s Note] 에디터 토크과학동아 l201612
- 갈수록 인기가 떨어지는 에디터노트를 개편해, 요즘 유행하는 H신문사의 ‘토크’ 형식을 한번 빌려 써본다. 그래도 인기가 없으면, 또 다른 H사의 형식을 빌려 ‘복면 편집장’ 이런 거라도…. (정신차리세요.) 편집부 내에서 있었던, 무식한 편집장과 영특한 기자들 사이의 (가상) 대화를 추렸다. ...
- [과학뉴스] 곤충, 날개 위 소용돌이 유지해 ‘슝~’과학동아 l201612
- 곤충 비행은 전진과 제자리비행이 모두 가능하고 돌풍에도 뛰어난 안정성을 보인다. 그 비결이 날개 주위의 복잡한 소용돌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장조원 한국항공대 항공운항학과 교수팀은 제자리비행에 능숙한 박각시나방을 본 따 크기가 5배인 ‘날갯짓 로봇’을 제작했다. 그리고는 물을 채 ... ...
- [과학뉴스] 한강 발원지서 신종 ‘수질정화 미생물’ 발견과학동아 l201612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한강의 발원지인 강원 태백시의 검룡소에서 수질정화 능력을 가진 신종 미생물을 발견했다고 11월 7일 밝혔다.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팀은 올해 2월 검룡소에서 이 미생물을 발견한 뒤 유전자 해독과 배양 작업을 해 왔다. 분석 결과 이 미생물은 이전에 발견된 적이 ... ...
- [과학뉴스] 우유주사 프로포폴과학동아 l201612
-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당시 ‘사라진 7시간’ 동안 프로포폴 주사를 맞았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의혹이 제기된 건 박 대통령의 단골병원으로 알려진 강남의 한 성형외과가, 언론의 취재가 시작된 직후 향정신성의약품 관리대장을 파쇄했기 때문입니다.프로포폴은 대표적인 ... ...
- [과학뉴스] 사라지는 생물을 디지털로 기억하는 법과학동아 l201612
-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 종의 수는 약 1조에 이른다. 하지만 일부 종은 인간에 의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생물학과 덩컨 얼시크 교수팀은 모든 생물 종을 디지털 기경록으로 남기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연구팀은 카메라 30개를 이용해 3D로 물체를 스캔할 수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