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행동"(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스토킹 등 타인 괴롭히고 정당화...'어둠의 성격 특성'2022.10.01
- 저쪽 휩쓸리기도 한다. 착한 척 하는 것보다는 나쁘게 사는 게 낫다고 하는 둥 선하게 행동하려는 노력을 폄하하고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라면 타인에게 해를 입히는 것도 괜찮다고 말하는 어두운 목소리들을 경계해아 하는 이유다. ※관련기사 Moshagen, M., Hilbig, B. E., & Zettler, I. (2018).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도움 요청을 꺼리는 이유는..."약해 보일까봐"2022.09.24
- 늘릴 것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민망함은 많은 경우 사회적 규범에서 벗어나는 잘못된 행동을 하고 있는 것 같다는 판단이 들 때 느껴지는 감정이다. 학교나 직장 등에서 잘 모르는데 질문하기 두려워서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하고 넘어가는 행위가 초래하는 비용을 계산해보면 결코 적지 않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아있는 시간 떠올리면 '소확행' 많아져2022.09.17
- 바타차르지(Bhattacharjee)와 동료들의 연구에 의하면 시간이 유한함을 깨달을수록 평범한 행동들, 예컨대 가족이나 친구들과 식사를 하거나 작은 취미 생활을 하는 것만으로도 특별한 경험을 하는 것만큼이나 큰 행복을 느끼는 경향이 나타난다. 그러다 보니 젊은 사람들의 행복은 특별한 경험이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맙다'는 말은 '마법' 같다2022.09.10
- 그러다 보니 누군가가 감사하다고 여길 만한 쓸모있고 가치있는 것으로 널리 인정받는 행동(봉사나 기부, 도움 행동, 희생적 영웅적 행동)을 했을 때 받은 사람보다 준 사람이 더 자존감이 상승하고 자신의 삶이 허무하지 않다는 삶의 의미감이나 의욕도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봉사 활동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껌 씹기도 운동...덜 씹으면 살 찐다2022.09.06
- 씹어 뇌가 식탐을 줄일 수 있게 유도할 수 있지 않을까. 지난 2016년 학술지 ‘생리학 & 행동’에는 이와 관련해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실렸다. 살이 찔까 걱정돼 밥을 반 공기만 먹는 사람들도 간식에는 별 신경을 쓰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과자 같은 간식은 에너지 밀도가 높아 전체 칼로리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운전실력 과신은 사고를 부른다2022.09.03
- 일도 많이 일어나지만 사건 사고도 많이 일어난다. 들떠있다 보면 평소보다 더 무모한 행동을 하기 쉬워지기도 한다. 젊은 사람들의 경우, 차에 사람이 많이 타고 있을수록 운전자가 과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위험 운전을 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 아무쪼록 다들 안전한 연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신노동만 해도 피로한 이유2022.08.23
- 3년 만에 ‘한강 멍때리기 대회’가 열린다고 한다. 참가자들은 90분 동안 의도적인 행동이나 생각을 하지 않아야 하고 주최 측은 15분마다 심박수를 측정해 가장 멍한 상태에 있는 사람을 정한다(안정적인 하향 곡선을 그릴수록 높은 점수를 받는다). 앞서 말했듯이 우리가 깨어있는 동안 뇌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씻으면 스트레스도 씻겨 나간다2022.08.20
- 나쁜 것들을 씻어 때문에 건강한 정신이 유지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비교적 간단한 행동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은 좋은 소식이다. ※참고자료 Lee, S. W. S., Millet, K., Grinstein, A., Pauwels, K., Johnston, P. R., Volkov, A. E., & van der Wal, A. (2022). Actual and simulated cleaning attenuate psychological and ...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럽서 아프리카까지 장거리 이동하는 나방의 비밀동아사이언스 l2022.08.14
- 따르면 매년 수조 마리의 곤충이 계절에 따라 장거리 이동을 한다. 이동 중 상태에 대한 행동 반응 분석은 개별 곤충을 추적해야 하기 때문에 접근하기 매우 까다로운 연구다. 연구진은 “나방 생체 내에 정교한 나침반 시스템이 있어 계절이나 바람 조건과 무관하게 이동 궤적을 유지할 수 있음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해야할 일 미루는 사람들의 특성2022.08.13
- 떠오르면 5초가 지나가기 전에 바로 시작해야 한다는 법칙이다. 5초가 지나가면 생각이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을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 '그냥 하기' 법칙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또한 많은 학자들이 지적한 바, 의지력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을 피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이들은 아직 욕구를 억제하는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