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차별"(으)로 총 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 행동의 진화] 인간은 어떤 곳에 살고 싶어하는가2021.03.20
- 사바나의 자연환경을 흉내 낸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서식지의 차별성을 유발하는 핵심 요인은 바로 기후다. 기후가 식생을 바꾸고, 먹잇감의 종류나 포식의 위험성도 일으키고, 종내 경쟁 및 번식 기회도 만들어낸다. 독일의 블라디미르 쾨펜은 기후를 구분하는 분류 체계를 ... ...
- 김기선 GIST 총장 사의 표명…재임 중 업무소홀·연구수당 수수 논란동아사이언스 l2021.03.18
- 처장 등 경영진 교체, 직원 인사위 10인 구성(노사 각 3명과 외부 추천 2명씩), 인권 및 차별방지 정책 시행 등을 요구했다. 노조에 따르면 교섭을 거쳐 17일 오후 6시에 요구사항에 대한 합의를 완료했으나 오늘 오전 11시에 갑자기 합의가 번복됐다. 이후 김 총장의 사퇴 선언이 나왔다. 김 총장은 ... ...
- 재택근무 강제에, 보험가입 거부까지…'코로나 생존자' 차별 없앤다동아사이언스 l2021.03.17
- 보고받고 논의했다”며 “직장, 일상에서 불이익을 받는 사례가 다수 발생해 차별없이 정상적인 일상에 복귀할 수 있도록 종합 지원대책을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역당국의 설명에 따르면 격리해제를 포함한 코로나19 완치자들은 건강을 회복해 일상에 복귀했지만 사회적 편견 등으로 ... ...
- [프리미엄 리포트] AI의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03.13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람들이 인공지능(AI)에 대한 환상을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AI를 맹신하면 안 돼요. 이미 AI는 알게 모르게 편향된 결단을 내리고 있고, 그 피 ... 부추기다 Part2. AI 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 Part3.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 Part4. ‘차별하는 AI’를 극복하려면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과학자 사회의 불평등에 대하여2021.03.12
- 주변국가 과학자가 직면하는 삶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계의 인종차별 -김우재의 글, [야! 한국 사회] ‘학술 시장’의 부패, 한겨레기사를 참고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854519.html#csidxba6e9ebf81cbeb2955c10fdd52f572f -김명심, & 박희제. (2011) ... ...
- [인간 행동의 진화]집단의 믿음이 아이스크림 맛을 규정한다2021.03.07
- 지독한 편견이다. ‘배우지 못한 나쁜’ 인간이라서 편견을 가지고 주위 사람을 차별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그가 '인간’이라서 그러는 것이다. 동종선호와 양극화 매슈 잭슨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미국 상원의 법안 투자에 관해 연구했다. 흥미롭게도 민주당 바버라 복서 의원과 공화당 마코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계는 '공정한 차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을까2021.02.25
- 사회학대회 논문집, (), 211-211. -24차 KIPA 공공리더십 세미나 자료집 -오찬호(2015).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괴물이 된 이십대의 자화상. 경기도: 개마고원. (Translated in English) Oh, C.H.(2015). We are in favour of discrimination: Self Portrait of a monster in your twenties. Gyunggi: Gaemagowon -”박남기. "실력주의사회에 대한 ... ...
- 후보 재공모, 후보사퇴, 노조성명까지...국가수리연 진통 끝 새 소장에 김현민 교수동아사이언스 l2021.02.25
- 놓쳤다", "연구원 중심이 아닌 행정부서 중심으로 연구소를 관리해 비노조원에 대한 역차별을 심화시켰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정 교수는 "3년간 일한 수리연 소장자리가 공백이 된데 책임감을 느껴 소추위 권유를 받아 후보에 지원했을뿐 자리에 미련이 없다"며 "희생하며 일하고 기관의 ... ...
- [사이언스N사피엔스]성당의 스팬드럴과 진화론2021.02.18
- 속에는 우생학 등 ‘나쁜 과학’의 기억이 남아 있다. 사회생물학이 세상의 불공평이나 차별을 유전자의 이름으로 정당화한다는 비난은 어쩌면 당연한 반작용이었는지도 모른다. 그 선봉격이었던 사람이 하버드 대학의 윌슨과 같은 건물에 있었던 굴드와 르원틴이었다. 이들은 유전자의 우월적 ... ...
- "정밀의료, 생명 살리지만 상상초월하는 윤리논쟁 잠재"… "법·제도 지금부터 정비해야"동아사이언스 l2021.02.17
- 및 안전에 관한 법, 의료법 등 관련 법규들의 합리성 및 정합성 선제적 검토, 유전자 차별 금지법 정교화 등이 필요하다”며 “의료서비스 주체들 간 협업체계 구성 및 국민적 공감대 형성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