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스페셜
"
조절
"(으)로 총 90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격한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들
2022.06.28
사람은 몸무게가 더 나갔다. 따라서 운동으로 만들어지는 락페는 몸의 에너지 밸런스를
조절
하는 신호 분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들은 락페를 합성해(간단한 일이다) 생쥐에 투여했다. 만일 락페가 진짜 신호 분자라면 운동을 안 했어도 비슷한 효과를 낼 것이다. ... ...
뇌의 절반을 차지하지만 주목받지 못하던 별세포, 치매 치료의 새 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3
베타는 뭉칠수록 독성이 커지는데 이를 막는 효과도 나타난 것이다. 별세포 ODC1 억제
조절
이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 표적이 될 수 있음도 쥐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반응성 별세포에서 ODC1을 억제하면 치매를 치료할 수 있음을 보이면서 새로운 치매 치료 방법으로 활용될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도 '그들'의 채팅방에 입장할 권한이 생겼습니다"
과학동아
l
2022.06.22
“차세대 발사체는 정지궤도까지 보낼 수 있는 추력을 확보하고, 재사용을 위한 추력
조절
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우주 로켓을 보유한 나라가 되기까지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이 조립동에서 갓 ... ...
[누리호 2차 발사]발사와 관련된 세 가지 과학기술 상식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가스는 노즐을 통해 빠져나가 발사체가 추력을 얻는다. 이 과정에서 가스 압력과 분출
조절
장치 등으로 점화와 소화를 반복하며 발사체 추진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고체연료 시스템은 연소관 안에 채워진 연료를 직접 점화하기 때문에 한번 점화하면 제어할 수 없다. 액체연료는 또 비추력이 ... ...
[누리호 2차 발사]후속 발사로 신뢰성 높이고 차세대 발사체로 달 착륙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효율이 10% 높고 성능 저하도 없는 게 장점이다. 여러 차례 점화하는 재점화 기술과 추력
조절
기술도 적용된다. 누리호는 75t급 액체엔진 4기를 묶은 1단과 75t 액체엔진 1기로 구성된 2단, 7t 액체엔진 1기로 구성된 3단형 발사체다. 차세대 발사체는 지구 저궤도에 10t 중량의 탑재체를 실어보낼 수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도에 적응하는 식물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6.18
부분압에 따라 엽록소 합성 초기 단계를 억제하는 화학물질을 분비해 광합성 수준을
조절
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주변 산소 수준을 확인해 성장 고도를 감지함으로써 내부 생화학적 과정을 최적하는 식물 유전자가 대부분 식물에서 발견되는 것을 확인했다. 기후변화로 야생종과 농작물이 낮은 ... ...
[우주산업 리포트] 아시아 인공위성 비즈니스 위크 2022
2022.06.10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첨단 인공위성이다. 수요 변화에 따라 위성 운영의 강약을
조절
할 수 있기 때문에 장비의 수명도 늘릴 수 있고 사용자의 편리함도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르빌론 CEO는 2021년부터 현재까지 제작 의뢰된 정지궤도(GEO) 위성의 60%와 2세대 비정지궤도(NGSO) 군집 위성의 10 ... ...
이공계 포닥 중 민간 진출 희망 12.6% 불과… 수요 불일치에도 민간 진출 돕는 정부사업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일자리 미스매치가 큰 요인”이라며 “장기적으로는 대학원 구조조정을 통한 공급
조절
과 민간 부문 진출 등의 수요 확대 정책이 동시에 필요하며 누적되는 박사후연구원 문제 개선을 위한 단기 정책 대응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박 선임연구원은 “박사후연구원은 균일한 집단이 아니며 ... ...
나의 기억저장 세포는 어디에 있을까…세포 분포 뇌지도 제작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6.02
세포들을 생쥐 뇌 전체에서 찾아낼 수 있었다. 이후 해당 세포들을 광유전학적 방법으로
조절
해 공간 공포 기억이 저장됐음을 확인했다. 이로써 공간 공포 기억을 저장하는 7개의 새로운 뇌 부위와 세포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또 기억에 다양한 뇌 부위의 기억저장 세포들이 모두 필요한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노벨상의 권위, 과학의 일탈
2022.06.02
능력을 잃어버렸고, 이를 교정하면 인체 내에서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분자들의 농도를
조절
함으로써 좋은 건강을 보전하고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을 것이었다. 폴링은 자신의 이런 생각들을 종합해서 ‘분자 교정 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제안했다. 비록 폴링이 노벨상을 수상한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