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스페셜
"
조절
"(으)로 총 127건 검색되었습니다.
“역량·도전의지 갖춘 인재 확실하게 밀어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1.11
둔 기초연구 투자는 최근 5~6년 사이 조금씩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전자
조절
물질 마이크로 RNA 분야에서 세계에서 가장 앞선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가 대표적인 예다. ● 확실한 지원…이공계 기피 현상 해결할 것 이 학장은 또 ‘선택과 집중’이 ... ...
“제약경쟁력 키우려면 범부처 협력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0.11.23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신약개발 단계에 따라 자율적으로 역할 비중을
조절
하면 됩니다. 연구를 기획하는 단계에서는 연구자가 주가 되서 진행을 하고, 임상 시험을 할 때는 임상 의사가 많은 부분을 맡는 식인 거죠. 이렇게 된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신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겁니다.” ... ...
“신약 개발 협의체로 글로벌 신약 10개 개발 지원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7.15
다음으로 많이 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아직 많이 부족하다. 또 R&D사업의 우선순위를
조절
하는 체계가 필요할 것 같다. 각 부처가 각자 역할이 맞춰 움직이되, BT 분야 투자에 선택과 집중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내부에 이러한 역할을 하는 조정 기구를 상시적으로 운영하면 ... ...
“오창-오송에는 공장보다 연구소가 들어와야”
동아사이언스
l
2009.11.24
파일롯 스케일에서는 kg 단위로 만들게 된다. “파일롯 스케일은 단순히 생산량만
조절
한다고 해결되는 문제는 아닙니다. 공정 자체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그래서 전문가를 고용하고 육성해야 합니다. 시료를 만드는 것은 물론이고 고품질의 임상용 시료를 만들 수 있도록 공정을 개발할 수 있는 ... ...
“여성 연구 인력 많아야 멋진 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09.10.29
충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전도성 고분자위에 스템셀의 성장을 전기적으로
조절
하는 연구를 하고있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 국제학술지에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국내외에서 120건의 특허를 받았다. 2006년에는 나오바이오융합연구클러스터단장을 맡아 11개의 기업과 공동으로 기술을 ... ...
“효율적인 연구인력 관리가 성과의 지름길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09.08.18
세계 최초로 밝혀내 영국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듬해엔 당뇨병과 비만
조절
유전자로 알려진 ‘AMPK’가 손상된 세포의 기능을 회복시켜 암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 또 한번 네이처에 게재했다. 현재 정 교수는 AMPK 유전자의 기능을 활성화해 암을 치료하는 연구를 하고 ... ...
타미플루 개발자 “한국 신약사업, 아이디어로 승부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6.03
특정 질병에 대한 원인규명 등 기초과학 연구가 이뤄지면, 이를 바탕으로 인체의 반응을
조절
하는 약품을 개발하는 것이다. 김 부사장은 “그러나 이런 전통적인 방법을 고집한 기업 중 사업화에 크게 성공한 곳은 드물다”면서 “기초과학을 하지 말라는 뜻은 아니지만 좀 더 시장 지향적으로 ... ...
이전
9
10
11
12
13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