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스페셜
"
결국
"(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
KOITA
l
2013.09.10
타이타닉이 CQD를 타전하기 10분 전부터 무선원이 자고 있어 대응할 수가 없었다.
결국
사고지점에서 90km 가까운 곳에 있던 카르파티아호가 요청에 응했지만 사고현장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3시 55분, 배가 완전히 침몰하고 1시간 30분이나 지난 후였다. 타이타닉호의 침몰은 큰 비극이었지만 ... ...
예술가는 과학자?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바라본 ‘과학+미술’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그림은 빠른 속도로 훼손되어간 것이다. 이후 수차례의 섬세한 복원 작업을 시도했지만
결국
작품의 원래 색상을 살리지 못한 채 전체적으로 색상이 어두워지고, 급기야는 표면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등의 수난을 겪게 된다. 극도의 세분화와 전문화를 추구하던 현대의 학문이 점차 하나로 ... ...
일본 공업기술 100년간의 온고지신
KOITA
l
2013.08.28
그 기술을 이해하고 실현하는 데 필요한 인력과 인프라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 따지고 보면 한국과 일본의 기초 체력 차이는 당연한 현상이다. 근대 공업을 도입하고 발전시키는 데 소요된 시간이 두 배 이상 차이가 난다. 게다가 내수시장의 규모나 기업활동의 다양성에서도 큰 차이가 ... ...
“급변하는 환경 반영한 새로운 나노 정책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8.22
일본 등도 참여하고 있다. “전문가들이 모여서 기술적 논의를 하는 자리지만
결국
규제 방향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지구온난화 때도 그랬거든요. 우리나라도 나노 안전 분야의 정책을 강화해서 선제적인 대응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내 제품을 수출하는 데 생길 수 있는 문제를 ... ...
미래 환경산업
KOITA
l
2013.08.08
지구 상의 생물이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과정이다. 석유나 석탄은 모두
결국
은 태양의 빛 에너지를 이용한 광합성의 결과물이 수십억 년 동안 축적된 것에 다름 아니다. 모든 생명체는 식물의 엽록체에서 일어나는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산물을 기본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 ...
불꽃과 굉음으로 지구 탈출! 로켓엔진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가속화시키는 데 쓰이는 3단 로켓엔진의 추력은 1단 로켓 추력의 3% 미만에 불과하다.
결국
엔진의 낮은 효율성은 자유로운 우주여행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그렇다면, 지구를 벗어난 후 우주선을 오래도록 움직일 로켓 엔진은 없는 것일까?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 ...
미래 통신산업
KOITA
l
2013.08.02
인터넷이란 이름으로 시작된 유선 네트워크와 음성 통화를 위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결국
하나로 통합되었으며, 꿈의 TV라고 불리던 IPTV까지 현실화된 네트워크 환경에 살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네트워크가 컴퓨터를 위한 트래픽과 음성 통화 그리고 TV 등을 위한 콘텐츠를 주고받기 위한 ... ...
조종사의 손보다 위대했던 컴퓨터
KOITA
l
2013.07.30
1,000회가 넘는 비행에 성공하고 각종 항공역학의 기초 이론을 확립한 선구자였지만
결국
비행 중 추락으로 사망하고 말았다. 사실 이 사고는 글라이더의 한쪽 날개만 부러지는 정도로 크지 않은 사고였다. 그러나 앞쪽에 조종자가 고스란히 노출되는 구조 탓에 릴리엔탈은 아무런 보호도 없이 그대로 ... ...
"과학자들 사회문제 외면하면 존재 의미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3.07.29
현재는 물론 미래 사회에 나타날 수 있는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
결국
개인과 사회의 복리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보열 과장의 이것만은 '꼭'△ 연구자들 사회문제에 관심 가져야 △ 타 분야와 융합통한 사회문제 해결 △ 사업 전후 꼼꼼히 실태조사 후 ... ...
"나노연구는 기초연구가 곧 응용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3.07.25
응용연구 중 무엇이 더 중요하냐를 논하자는 게 아닙니다. 나노연구의 마침표는
결국
산업 관련 기술을 만드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초연구 성과를 바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이를 단기적인 성과만 추구하는 것으로 간주하면 안됩니다.” 탄소나노튜브를 알루미늄과 섞어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