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스페셜
"
개체
"(으)로 총 27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전달한다. 접붙이기는 한
개체
의 지상부와 다른
개체
의 지하부를 연결해 하나의
개체
로 만드는 방법이다. 접붙이기에서 지하부(대목)는 단순히 물과 영양분만을 공급하는 게 아니다. 포도나무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병해충 저항성이나 가뭄이나 홍수 같은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도 갖게 ... ...
잊을 만하면 제기되는 '변종 코로나' 등장...과학계 "아직 단정 일러"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2(SARS-CoV-2)는 3만 개의 리보핵산(RNA)을 유전물질로 지니고 있다. 이렇게
개체
가 지닌 유전물질의 총합을 유전체라고 한다. 유전체는 음악의 ‘악보’에 비유할 수 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유전체는 3만 개의 음표로 구성된 크고 복잡한 교향곡의 악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이 악보를 이용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쥐에게도 백신을 접종해야 할까
2020.08.19
목숨을 잃고 가축 피해 규모는 연간 600억 원에 이른다. 현재는 독약을 풀어 흡혈박쥐
개체
수를 조절하는 전략을 쓰고 있지만 효과가 미미하다. 묻히는 백신의 가능성을 보는 실험이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진짜 백신 대신 로다민B라는 형광색소를 페루의 동굴에서 사로잡은 박쥐들의 털에 칠한 뒤 ... ...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낯설게 느껴지지만 사실 우리가 재배하는 벼는 유전자 변이로 키가 잘 자라지 않게 된
개체
를 선별한 것이다. 광합성 산물을 식물체 생장 대신 씨앗을 만드는 데 쓰고 벼가 잘 쓰러지지 않아 수확량이 많기 때문이다. 1960년대 녹색혁명은 벼와 밀의 키가 작아진 덕분이다. 그러나 침수가 만성적인 ... ...
딱딱한 문어체 글만 잘 읽던 AI, 이젠 구어체가 더 편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개선한 문어체 언어분석 API도 추가로 공개했다. 추가로 공개된 API는 형태소 분석과
개체
명 인식 정확도가 각각 96.80%, 89.40%로 올라갔다. 임준호 ETRI 책임연구원은“기존 기술이 주로 백과사전과 법령을 학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됐지만 꾸준히 구어체 분야에서도 활용됐다”며 “구어체 ... ...
[프리미엄 리포트] 바이러스는 우주에서도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25
하루 동안 수십억 개의 바이러스가 내려앉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바이러스의
개체
수는 세균보다 평균 약 50배 많았고, 지역에 따라 최대 461배까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공기가 없고 방사선이 가득하며 기온이 극과 극을 오가는 우주 공간에도 이런 바이러스들이 살고 있을까. ... ...
"코로나19 감염력 더 강해진다" vs "근거 없다" …'변이' 논란 오리무중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나가 새로운
개체
군을 형성하는 현상이다. 나중에 형성된
개체
군은 초기에 떨어져 나간
개체
군보다 유전자 다양성이 떨어진다. 코로나19 ‘무주공산’이었던 유럽과 미국 동부에 G614가 들어가 확산하면서 D614의 빈도가 떨어졌다는 해석이다. 스파이크 단백질 614번 아미노산 변이의 두 유형을 ... ...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홍보해놓고 실험시설 부족 방치하고 추경도 잘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2
감염병연구센터는 4월 말~5월 초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돼 중등도 이하의 증상을
개체
별로 고르게 보이는 영장류 감염병 모델을 붉은털원숭이(레서스 마카크)를 이용해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세계적으로도 네덜란드와 미국, 중국 등 일부 국가만이 개발에 성공한 동물실험 모델이다. 특정 질병에 ... ...
국내 코로나 백신·치료제 영장류 실험 본격 돌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필요하지만, 영장류는 사람과 비슷해 이런 절차가 필요 없다. 다만 사람과 비슷한 증상을
개체
별로 고르게 보이도록 하는 과정이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임상시험이 가능한 영장류 모델을 자체 개발해 보유한 나라는 미국과 중국, 네덜란드 등 극소수 국가다. ... ...
멸종위기 천산갑 코로나19 창궐 때문에 살았다
연합뉴스
l
2020.06.10
덮여 있다. 중국 한의사들이 이 비늘을 약재로 쓰면서 천산갑은 사냥 수요가 늘어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세계자연보호연맹(IUCN)의 적색목록에 따르면 천산갑 8종은 모두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있다. 이중 순다천산갑·필리핀천산갑·중국천산갑은 위급(CR),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