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개수"(으)로 총 151건 검색되었습니다.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IBS l2014.05.14
- 구상할 심산이었다. 켈빈 경은 원자는 단단한 입자가 아니라 특정한 모양과 고리의 개수를 지니는 소용돌이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했으며, 소용돌이의 모양과 구조에 따라 물질의 성질과 화학반응이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켈빈 경이 '원자의 소용돌이' 이론의 이론의 기본 골격을 만들었다면 동료인 ... ...
- 골디락스 영역 속 제2의 지구를 찾아라KISTI l2014.01.06
- 포털사이트 ‘플래닛 퀘스트(PlanetQuest)’에 따르면, 11월 7일 기준 외계행성으로 확인된 개수는 931개, 외계행성 후보는 3,602개에 이른다. 2009년 NASA는 ‘제2의 지구’를 찾기 위해 케플러 탐사선을 발사했다. 이 탐사선에 실린 우주망원경은 4년 동안 15만 개의 별을 사진으로 찍어 3,500개 이상의 ... ...
- [채널A]과학기술위성 3호 등 국산위성 4기 러시아서 발사채널A l2013.11.21
- ‘두바이샛 2호’까지 포함하면 모두 4기입니다. 한 번에 쏘아 올리는 인공위성 개수로는 우리 역사상 최다 기록입니다. 핵심 위성은 ‘과학기술위성 3호’. 근적외선 카메라로 은하를 탐색하고 산불 탐지와 도시 열섬 현상 관측 등의 임무를 수행합니다. [인터뷰: 박홍영/KAIST 과학기술위성 3호 ... ...
- 감기, 백신도 치료제도 없는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3.11.18
- 봤다. 제약사로서는 백신을 충분히 만들었다가 재고가 잔뜩 남으면 곤란하므로 적정 개수를 생산한 것일 텐데 아무래도 요즘 백신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나보다. 필자만 해도 수년 전까지는 독감 백신을 맞는다는 건 생각도 안 했는데 2009년 신종플루유행 이후 이제는 백신을 안 맞으면 불안해 못 ... ...
- 빛의 속력은 어떻게 측정할까?동아사이언스 l2013.11.05
- 거리(5.5km)와 빛이 카메라에 촬영되지 않을 때의 톱니바퀴의 분당 회전 수 및 톱니바퀴의 개수를 알면 빛의 속력을 구할 수 있다. 이렇게 과천과학관에 설치된 광속측정 장치로 계산한 빛의 속력은 약 280,000,000m/s 이다. 측정한 빛의 속력이 피조가 측정한 빛의 속력인 313,000,000m/s 보다 작은 이유는 ... ...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KOITA l2013.11.04
- 결국 정보를 새로 받는 점들의 숫자는 개가 되며, 시간 후 정보를 보유한 점의 총 개수는 , 즉 개가 된다. 이를 개인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적용한다면,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정보를 알리는 데 걸리는 시간이 넉넉잡고 하루라고 할 경우 33일만 지나면 지구상의 모든 사람들에게 정보가 ... ...
- [채널A] KAIST 연구진, 세계 최초 대장균으로 휘발유 생산채널A l2013.10.01
- 섭취한 뒤 탄소와 수소, 산소 등이 섞인 지방산을 만들어내는데, 이 과정에서 탄소 개수가 16개에서 18개 가량 되는 긴 탄소 사슬을 형성한다는 점에 착안했습니다. 휘발유의 탄소 수는 4개에서 12개. 연구진은 대장균의 유전자를 변형한 특수 대장균을 만들어 탄소 수를 휘발유 수준으로 줄인 뒤 ... ...
- 헨리에타 랙스, 죽고 나서야 전 세계를 여행한 여인 동아사이언스 l2013.08.26
- 이형접합성상실이 뚜렷하다. 염색체 양 옆의 옅은 주황색과 청회색 막대가 각 반수체의 개수를 보여준다. 염색체 위(또는 아래) 숫자가 염색체 번호다. 4번 염색체만이 2배체이고 다른 염색체들은 부분에 따라 3배체, 4배체, 5배체, 6배체까지 존재한다. 한편 6번, 13번, 22번, X 염색체에서 한 쪽 염색체가 ...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3.07.15
- 가능하기 때문에 잡종도 생식력이 있고 따라서 프르제발스키 말은 가축화된 말과 염색체 개수가 다름에도 한 종으로 분류된다. - 세포유전학 제공 프르제발스키 말은 종다양성의 관점에서도 중요하지만, 오늘날 말이 가축화되면서 게놈상에서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를 파악하는데 기준을 제공하고 ... ...
- 악어도 감전사시키는 전기漁, 자신은 멀쩡한 이유!KISTI l2013.06.12
- 거야. 너도 병렬과 직렬에 대해서는 학교에서 배웠지? 건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면 연결한 개수만큼 전압이 높아지고, 병렬로 연결하면 전압은 건전지 하나일 때와 똑같지만 대신 오래 쓸 수 있다는 것 말야.” “어쩌면 배웠을지도 모른다는 기억의 흔적 같은 것들이 살짝 뇌를 흔들며 지나가긴 ... ...
이전10111213141516 다음